143 avsnitt

북저널리즘 weekend와 함께 이 주의 뉴스, 비즈니스, 라이프스타일, 글로벌 이슈를 알아보세요. 에디터의 관점으로 맥락을 해설하고 미래를 들여다봅니다. ‘지금 깊이’ 읽어야 하는 책 한 권도 소개합니다. 책처럼 깊이 있게, 뉴스처럼 빠르게. 북저널리즘

북저널리즘 weekend 북저널리즘 bookjournalism

    • Nyheter

북저널리즘 weekend와 함께 이 주의 뉴스, 비즈니스, 라이프스타일, 글로벌 이슈를 알아보세요. 에디터의 관점으로 맥락을 해설하고 미래를 들여다봅니다. ‘지금 깊이’ 읽어야 하는 책 한 권도 소개합니다. 책처럼 깊이 있게, 뉴스처럼 빠르게. 북저널리즘

    지금 제일 핫한 건축가, 별나서 성공한 게 아니라고?

    지금 제일 핫한 건축가, 별나서 성공한 게 아니라고?

    건축계의 레오나르도 다빈치라 불리는 건축가 토마스 헤더윅이 서울을 찾았습니다. 바로 노들섬을 다시 짓기 위해서입니다. 계보 없는 건축가인 토마스 헤더윅은 도발적이고 독특한 건축 작품들을 선보이며 명성을 얻었습니다. 한편 개발에 들어설 노들섬은 1960년대부터 지난한 개발의 역사를 지니고 있습니다. 서울 한복판, 정중앙에 위치했다는 이유에서죠. 헤더윅은 섬다운 섬, 노들섬다운 노들섬다운 노들섬을 만들어 낼 수 있을까요?



    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

    • 27 min
    [숲속의 생활] 에어컨이 지배하는 세상, 우리는 조종당했다!

    [숲속의 생활] 에어컨이 지배하는 세상, 우리는 조종당했다!

    에어컨 없이는 살 수 없는 시대가 됐습니다. 우리는 이제 에어컨에 너무 익숙해졌지만, 사실 과거엔 그렇지 않았죠. 어떻게 에어컨은 우리 삶에 깊숙이 침투한 걸까요? 이면에는 주택 건설업계와 투자업계, 그리고 전력 회사들의 의도가 숨어 있습니다. 물론 이 의도는 에어컨 없이는 여름을 나지 못하게 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졌습니다. 당장 에어컨을 없애기는 어려울 겁니다. 그럼에도 에어컨이 없는 세계를 상상하는 능력은 기후 위기 시대에 중요합니다.



    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

    • 22 min
    X에 가짜 뉴스를 퍼나르는 사람들, 대체 누굴까?

    X에 가짜 뉴스를 퍼나르는 사람들, 대체 누굴까?

    2020년 미국 대선 기간 60만 명 이상의 미국 유권자 표본으르 조사한 결과 소셜 미디어 X를 통해 가짜 뉴스의 80퍼센트를 퍼트린 슈퍼 공유자가 전체 사용자의 1퍼센트 미만인 2000여 명으로 드러났습니다. 이 슈퍼 공유자들이 젊은 극우 남성일 것이라는 고정관념과는 달리, 대부분 보수적인 주에 거주하는 공화당 성향의 중년 백인 여성이었는데요, 이들은 리트윗 기능을 활용해 매일 엄청난 양의 가짜 뉴스를 퍼날랐습니다. 우리는 왜 가짜 뉴스에 현혹되는 걸까요? 슈퍼 공유자들은 왜 컴퓨터 앞에서 리트윗 버튼을 누르는 걸까요? 이제 질문은 진화해야 합니다.



    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

    • 19 min
    중산층이 복권에 집착하는 이유는? 욕망과 희망의 계급도

    중산층이 복권에 집착하는 이유는? 욕망과 희망의 계급도

    통계청이 조사한 결과 지난 1분기에 복권을 구매한 가구가 10집 중 한 집 꼴로 나타났습니다. 비중이 최근 5년간 가장 컸던 것으로 드러났는데요, 전체 조사 대상 가구 2183만 가구 중 복권을 구매한 가구는 221만 가구였습니다. 이들은 한달 평균 7300원 정도를 지출했습니다. 복권을 가장 많이 구입한 가구는 소득 40~60퍼센트에 해당하는 3분위였습니다. 이들이 복권에 대해 갖는 희망을 들여다 보면, 중산층이 사회에 관해 갖는 욕망이 보이죠.



    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

    • 18 min
    독한 여름이 온다! 올여름 폭염일수 100일 넘는다?!

    독한 여름이 온다! 올여름 폭염일수 100일 넘는다?!

    극단적인 폭염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만의 이야기도 아닙니다. 기후 위기로 인해 지난해 극단적 폭염을 나타낸 날이 평균보다 무려 26일 늘어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보고서는 폭염이 기후 관련 사망의 주요 원인이라며 지구 온난화가 극단적 기후의 강도와 변화를 증가시키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폭염은 우리의 생명과 터전을 위협할 뿐 아니라 경제적인 어려움도 가중하고 있습니다. 다가오는 여름, 안전하게 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요?



    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

    • 21 min
    비만 치료제 위고비의 기세! 초콜릿 회사의 수상한 전략은?

    비만 치료제 위고비의 기세! 초콜릿 회사의 수상한 전략은?

    네슬레가 비만 치료제에 대응해 맞춤형 식품 라인을 개발했습니다. 바이탈 퍼슈트라는 이름의 식품 라인은 섬유질과 단백질이 풍부합니다. 네슬레는 자사의 신제품이 체중을 관리하는 모든 사람에게 균형 잡힌 식단을 지원할 것이라며 자신감 넘치는 포부를 밝혔죠. 그러나 한편으로 네슬레는 가난한 국가에게는 더 많은 설탕을, 그리고 더 많은 비만을 팔아 왔습니다. 비만약과 식품 대기업의 얽히고설킨 관계는 어떤 모습일까요?



    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

    • 14 min

Mest populära poddar inom Nyheter

Fupar & fall
Third Ear Studio
Aftonbladet Krim
Aftonbladet
Europapodden
Sveriges Radio
Konflikt
Sveriges Radio
Expressen Dok
Expressen
Det politiska spelet
Sveriges Radio

Du kanske också gillar

[쓸공언니] 경제 뉴스와 책 읽기
쓸공언니
[듣똑라]듣다보면 똑똑해지는 라이프
듣똑라
김지윤의 지식Play
김지윤의 지식Play
슈카월드
슈카친구들
요즘 것들의 사생활
요즘사
책읽아웃
예스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