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근대화론, 그게 대체 무엇이길래 [독서근황] 봄밤의 근황 - 백수린 전쟁 같은 맛 - 그레이스 M. 조 [참고자료] (추천자료는 앞에 *표) *정연태, 「’식민지근대화론’ 논쟁의 비판과 신근대사론의 모색」, 『창작과비평』 27(1), 1999. *조석곤, 「식민지 근대화론 연구성과의 비판적 수용을 위한 제언」, 『역사비평』 75, 2006. *김낙년, 「’식민지 근대화’ 재론」, 『경제사학』 43, 2007. *김낙년, 『일제하 한국경제』, 해남, 2003. 박섭 외, 『식민지 근대화론의 이해와 비판』, 백산서당, 2004. - 박섭, 「식민지기 한국의 경제성장」, 『식민지 근대화론의 이해와 비판』, 백산서당, 2004. - 정태헌, 「연구사를 통해 본 경제성장론 식민지상의 대두배경과 문제점」, 『식민지 근대화론의 이해와 비판』, 백산서당, 2004. *허수열, 『개발 없는 개발』, 은행나무, 2005/2016(개정증보판). 이대근 외, 『새로운 한국경제발전사 : 조선후기에서 20세기 고도성장까지』, 나남, 2005. 정태헌, 『문답으로 읽는 20세기 한국경제사』, 역사비평사, 2010. *이철우 외,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 ‘뉴라이트 역사학의 반일종족주의론’ 비판』, 푸른역사, 2020. 김낙년, 『한국경제성장사』, 해남, 2023. 오두환, 『비교한국경제사 (下)』, 경인문화사, 2023. 전용덕, 『식민지 근대화의 실상 : “반일 종족주의” 비판』,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25.
Oplysninger
- Serie
- HyppighedMånedligt
- Publiceret13. juni 2025 kl. 21.00 UTC
- Længde1 t. 40 min.
- VurderingIkke anstødelig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