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슥]14:1 여호와의 날이 이르리라 그 날에 네 재물이 약탈되어 네 가운데에서 나누이리라 [슥]14:2 내가 이방 나라들을 모아 예루살렘과 싸우게 하리니 성읍이 함락되며 가옥이 약탈되며 부녀가 욕을 당하며 성읍 백성이 절반이나 사로잡혀 가려니와 남은 백성은 성읍에서 끊어지지 아니하리라 [슥]14:3 그 때에 여호와께서 나가사 그 이방 나라들을 치시되 이왕의 전쟁 날에 싸운 것 같이 하시리라 [슥]14:4 그 날에 그의 발이 예루살렘 앞 곧 동쪽 감람 산에 서실 것이요 감람 산은 그 한 가운데가 동서로 갈라져 매우 큰 골짜기가 되어서 산 절반은 북으로, 절반은 남으로 옮기고 [슥]14:5 그 산 골짜기는 아셀까지 이를지라 너희가 그 산 골짜기로 도망하되 유다 왕 웃시야 때에 지진을 피하여 도망하던 것 같이 하리라 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임하실 것이요 모든 거룩한 자들이 주와 함께 하리라 [슥]14:6 그 날에는 빛이 없겠고 광명한 것들이 떠날 것이라 [슥]14:7 여호와께서 아시는 한 날이 있으리니 낮도 아니요 밤도 아니라 어두워 갈 때에 빛이 있으리로다 [슥]14:8 그 날에 생수가 예루살렘에서 솟아나서 절반은 동해로, 절반은 서해로 흐를 것이라 여름에도 겨울에도 그러하리라 [슥]14:9 여호와께서 천하의 왕이 되시리니 그 날에는 여호와께서 홀로 한 분이실 것이요 그의 이름이 홀로 하나이실 것이라 [슥]14:10 온 땅이 아라바 같이 되되 게바에서 예루살렘 남쪽 림몬까지 이를 것이며 예루살렘이 높이 들려 그 본처에 있으리니 베냐민 문에서부터 첫 문 자리와 성 모퉁이 문까지 또 하나넬 망대에서부터 왕의 포도주 짜는 곳까지라 [슥]14:11 사람이 그 가운데에 살며 다시는 저주가 있지 아니하리니 예루살렘이 평안히 서리로다 스가랴 14장의 주제를 한마디로 말하면 여호와의 날입니다. 1절은 이렇게 시작합니다.여호와의 날이 이르리라... 이것을 좀더 원어에 충실하게 번역하면 여호와께 속한 날이 왔다라는 의미입니다. 그러니까 여호와의 날이 이미 이르렀다는 의미지요. 그런데 실재 역사속에서 아직 이 날은 이르지 않았지요. 그런데 왜 이미 이르렀다고 말하는 걸까요? 그것은 하나님께서 정하신 것으로 반드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그 날이 반드시 온다는 것이지요, 오늘 본문은 그 여호와의 날에 대한 몇가지 특징을 말합니다. 첬째, 1~2절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이방나라들을 모아 예루살렘과 싸우게 한다고 말씀합니다. 그 결과 성읍이 함락되고 가옥이 약탈되고 부녀가 욕을 당하여 성읍 백성 절반이 사로잡혀 가지요. 이스라엘이 고난을 당한다는 것이지요. 이렇게 보면 여호와의 날은 고난의 날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한편으로 다행인 것은 남은 백성은 성읍에서 끊어지지 않는다고 말하지요. 뿐만 아니라 3절은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3 그 때에 여호와께서 나가사 그 이방 나라들을 치시되 이왕의 전쟁 날에 싸운 것 같이 하시리라 하나님께서 직접 이방 나라를 치시는데 이왕의 전쟁 날에 싸운 것 같이 하신다는 말씀입니다. 이왕의 전쟁의 날이란 과거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위하여 싸우셨던 것을 말합니다. 홍해에서 애굽 군대를 치신 것, 여호수아 때 여리고성을 무너뜨리고, 태양을 멈추게 하고, 큰 우박을 내리셔서 적군을 치셨던 것들이지요. 이때 이스라엘이 한 것이 없었지요. 그들은 하나님을 바라볼뿐이었고,그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할 뿐이었습니다. 그런데 그때 하나님께서 친히 개입하셔서 특별한 방법으로 싸워주시고 승리를 주신 것이지요. 계속해서 스가랴서는 그날에 대해 묘사를 이어갑니다. 4,5절에서 그날에 그의 발은 예루살렘 앞 동쪽 감람산 위에 서실 것인데 그의 강림으로 감람산은 동과 서로 반으로 쪼개져 큰 골짜기가 되는데 그곳은 백성들의 피난처가 될 것입니다. 6절에서는 "그 날에는 빛이 없겠고 광명한 것들이 떠날 것이라"고 말씀합니다. 단순히 특이한 자연현상이 아니라 하나님의 임재 앞에서 우주적인 격변과 세상의 빛이 무력화되는 것을 말합니다(요엘2:31절 참조) 인간이 의지하는 세상 질서가 무너지고 오직 하나님의 빛만 남는다는 것입니다. 7절도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7 여호와께서 아시는 한 날이 있으리니 낮도 아니요 밤도 아니라 어두워 갈 때에 빛이 있으리로다" 그날은 여호와만이 아시는 날이고, 기존의 세상이 어두워 갈때에 새로운 빛이 임하게 되지요. 그 빛은 다름 아닌 하나님의 임재로부터 오는 하나님의 빛입니다. 게21:23절은 이렇게 이야기하지요. “그 성은 해나 달의 비침이 쓸데없으니 이는 하나님의 영광이 비치고 어린 양이 그 등불이 되심이라.” 8절도 같은 의미로 이렇게 이야기하지요. 8 그 날에 생수가 예루살렘에서 솟아나서 절반은 동해로, 절반은 서해로 흐를 것이라 여름에도 겨울에도 그러하리라 성경의 마지막인 요한계시록 22:1~2절도 이렇게 이야기하지요. 1 또 그가 수정 같이 맑은 생명수의 강을 내게 보이니 하나님과 및 어린 양의 보좌로부터 나와서 2 길 가운데로 흐르더라 강 좌우에 생명나무 가 있어 열두 가지 열매를 맺되 달마다 그 열매를 맺고 그 나무 잎사귀들은 만국을 치료하기 위하여 있더라 결론으로 9절은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9 여호와께서 천하의 왕이 되시리니 그 날에는 여호와께서 홀로 한 분이실 것이요 그의 이름이 홀로 하나이실 것이라" 원래가 하나님은 온 세상을 창조하신 유일한 왕이셨지요. 단지 인간들이 여호와를 배척하고 심판을 당하게 되지요. 이제 다시 회복케 하심으로 하나님을 하나님으로, 유일한 왕으로 인정하게 된 것이지요. 이것은 단지 이스라엘뿐 아니라 온 땅을 그것을 인정하게 되지요. 그래서 마지막 10.11절에서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온 땅이 아라바 같이 평평하게 되고 예루살렘을 높이 들리게 됩니다(10절) 그리고 사람이 그 가운데에 살며 다시는 저주가 있지 아니하리니 예루살렘이 평안히 서게 됩니다(11절) 이 예루살렘은 이전의 예루살렘이 아니지요. 계시록에서 하늘로부터 내려온 새예루살렘으로 마침내 이루어진 하나님 나라를 말합니다. 오늘 우리가 힘겨운 삶속에서도 소망중에 믿음으로 살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하나님의 때, 여호와의 날에 마침내 하나님께서 이루실 그 나라를 소망하기 때문이지요. 하나님만이 홀로 우리의 왕이심을 선포하면서, 오늘도 우리 마음과 삶가운데 그분의 임재을 바라며 만왕의 왕되신 주님의 인도하심과 승리케 하심이 오늘의 삶가운데, 그리고 마침내 이루실 하나님의 때에 경험하시길 간절히 바랍니다.
Information
- Show
- FrequencyUpdated Daily
- PublishedAugust 21, 2025 at 12:00 AM UTC
- Length16 min
- RatingCl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