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슥]7:1 다리오 왕 제사년 아홉째 달 곧 기슬래월 사일에 여호와의 말씀이 스가랴에게 임하니라 [슥]7:2 그 때에 벧엘 사람이 사레셀과 레겜멜렉과 그의 부하들을 보내어 여호와께 은혜를 구하고 [슥]7:3 만군의 여호와의 전에 있는 제사장들과 선지자들에게 물어 이르되 내가 여러 해 동안 행한 대로 오월 중에 울며 근신하리이까 하매 [슥]7:4 만군의 여호와의 말씀이 내게 임하여 이르시되 [슥]7:5 온 땅의 백성과 제사장들에게 이르라 너희가 칠십 년 동안 다섯째 달과 일곱째 달에 금식하고 애통하였거니와 그 금식이 나를 위하여, 나를 위하여 한 것이냐 [슥]7:6 너희가 먹고 마실 때에 그것은 너희를 위하여 먹고 너희를 위하여 마시는 것이 아니냐 [슥]7:7 예루살렘과 사면 성읍에 백성이 평온히 거주하며 남방과 평원에 사람이 거주할 때에 여호와가 옛 선지자들을 통하여 외친 말씀이 있지 않으냐 하시니라 [슥]7:8 여호와의 말씀이 스가랴에게 임하여 이르시되 [슥]7:9 만군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여 이르시기를 너희는 진실한 재판을 행하며 서로 인애와 긍휼을 베풀며 [슥]7:10 과부와 고아와 나그네와 궁핍한 자를 압제하지 말며 서로 해하려고 마음에 도모하지 말라 하였으나 [슥]7:11 그들이 듣기를 싫어하여 등을 돌리며 듣지 아니하려고 귀를 막으며 [슥]7:12 그 마음을 금강석 같게 하여 율법과 만군의 여호와가 그의 영으로 옛 선지자들을 통하여 전한 말을 듣지 아니하므로 큰 진노가 만군의 여호와께로부터 나왔도다 [슥]7:13 내가 불러도 그들이 듣지 아니한 것처럼 그들이 불러도 내가 듣지 아니하리라 만군의 여호와가 말하였느니라 [슥]7:14 내가 그들을 바람으로 불어 알지 못하던 여러 나라에 흩었느니라 그 후에 이 땅이 황폐하여 오고 가는 사람이 없었나니 이는 그들이 아름다운 땅을 황폐하게 하였음이니라 하시니라 스가랴 6장까지 8가지 환상이 마무리되고오늘 본문에서 새로운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1절에서 그때가 다리오 왕 제사년 아홉째 달 곧 기슬래월 사일이라고 말합니다. 스가랴가 예언을 처음 시작한 때가 다리오 왕 2년 여덟번째 달이었으니까 그때부터 만 2년이 지난 시점으로 주전518년입니다. 이때는 성전이 파괴되고 유다가 포로로 끌려간 때로부터 계산하면 예레미야가 선포한 70년 바벨론 포로기의 종결이 임박한 시기였습니다. 이때 벧엘사람들이 사례셀 레겜메렉과 그의 부하들을 여호와의 전에 있는 제사장들과 선지자들게 질문을 합니다 3절, “내가 여러 해 동안 행한 대로 오월 중에 울며 근신하리이까 하매” 여기서 5월 중에 울며 근신한다는 것은 5월 금식일을 지키는 것을 말합니다. 이스라엘은주전 587년에 예루살렘 성전이 바벨론에 의해 불탄 것을 기억하며 금식하기 시작합니다. 아마도 이들이 바벨론 포로로 있는 동안 그러니까 거의 70년동안 이 날을 기억하며 금식을 했을겁니다. 하지만 이제는 70년 포로기의 종결이 임박한 상태에서 그들이 하던대로 성전 파괴를 기념하는 애도의식을 지속해야 하는지를 묻는 것입니다. 그때 하나님의 말씀이 스가랴에게 임하는데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5 온 땅의 백성과 제사장들에게 이르라 너희가 칠십 년 동안 다섯째 달과 일곱째 달에 금식하고 애통하였거니와 그 금식이 나를 위하여, 나를 위하여 한 것이냐 6 너희가 먹고 마실 때에 그것은 너희를 위하여 먹고 너희를 위하여 마시는 것이 아니냐" 어떤 종교적인 행위, 율법적인 행위 자체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그 중심이 누구를 향하고 있는지를 점검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그러면서 다시한번 이전에 선지자들이 무엇을 말했는지를 생각해 보라고 말씀합니다. "9 만군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여 이르시기를 너희는 진실한 재판을 행하며 서로 인애와 긍휼을 베풀며 10 과부와 고아와 나그네와 궁핍한 자를 압제하지 말며 서로 해하려고 마음에 도모하지 말라 하였으나" 겉모습만, 종교적인 행위만 열심히 하지말고 진정 하나님이 원하시고 기뻐하는 행위를 하라는 것이지요. 하지만 그들은 말씀을 듣기 싫어하여 등을 돌리고, 듣지 않으려고 귀를 막고 그 마음을 금강석 같게 하여 마음을 돌이키지 않지요(11,12절) 그러면서 지금 그들은 금식을 언제까지 해야 하는지 묻는 것이 참 우습지요. 우리도 가끔 이런 질문을 합니다. 십일조를 해야 합니까? 하지말아야 합니까? 꼭 주일에 예배를 드려야 합니까? 모든 날이 주의 날인데 아무 때나 드려도 되지 않나요? 꼭 교회에 나와야 합니까? 집에서 영상으로 드리면 안됩니까? 성경에는 술먹지 말라는 말이 없는술을 먹어도 됩니까? 안됩니까? 이런 질문을 하는 사람의 마음 중심은 어떨까요? 진짜로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이 무엇인지 궁금해서 그런 질문을 할까요? 우리는 우리 자신을 돌아보아야 합니다. 금식, 구제, 봉사, 심지어 예배까지... 이것이 하나님을 위해 하는 것인가? 아니면 나를 위하여 하는 것인가? 어떻게 이것을 점검할 수 있을까요? 그것으로 인해 나의 삶을 어떻게 변했는가를 살펴보면됩니다. 율법적이고 종교적인 것들은 잘 하는데, 나의 삶이 전혀 변하지 않는다면, 그것들은 결국 나 자신을 위한 것일뿐이지요. 반대로 그것들이 나머지 삶에도 영향을 주어, 더욱 하나님 뜻대로 살아가게 한다면 하나님을 위한 것이 될 것입니다. 오늘 말씀을 묵상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말씀을 따라 하나님의 원하시는 뜻대로 , 진실함으로 살아가고, 모든 이들에게 인애과 긍휼을 베풀며 살아가고 궁핍한 자를 불쌍히 여기고, 서로를 높여주는 그런 삶을 살아가십시오. 그때 우리의 말씀묵상은 하나님이 보시기에 기뻐하며, 이 말씀묵상을 통하여 하나님의 은혜가 흘러오고, 우리를 더욱 하나님의 사람으로 변화시켜 갈것입니다. 누구를 위한 것입니까? 끊임없이 나 자신에게 물어보시기 바랍니다.
Информация
- Подкаст
- ЧастотаЕжедневно
- Опубликовано11 августа 2025 г. в 23:56 UTC
- Длительность15 мин.
- ОграниченияБез ненормативной лексик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