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슥]8:1 만군의 여호와의 말씀이 임하여 이르시되 [슥]8:2 만군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내가 시온을 위하여 크게 질투하며 그를 위하여 크게 분노함으로 질투하노라 [슥]8:3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내가 시온에 돌아와 예루살렘 가운데에 거하리니 예루살렘은 진리의 성읍이라 일컫겠고 만군의 여호와의 산은 성산이라 일컫게 되리라 [슥]8:4 만군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예루살렘 길거리에 늙은 남자들과 늙은 여자들이 다시 앉을 것이라 다 나이가 많으므로 저마다 손에 지팡이를 잡을 것이요 [슥]8:5 그 성읍 거리에 소년과 소녀들이 가득하여 거기에서 뛰놀리라 [슥]8:6 만군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이 일이 그 날에 남은 백성의 눈에는 기이하려니와 내 눈에야 어찌 기이하겠느냐 만군의 여호와의 말이니라 [슥]8:7 만군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보라, 내가 내 백성을 해가 뜨는 땅과 해가 지는 땅에서부터 구원하여 내고 [슥]8:8 인도하여다가 예루살렘 가운데에 거주하게 하리니 그들은 내 백성이 되고 나는 진리와 공의로 그들의 하나님이 되리라 [슥]8:9 만군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만군의 여호와의 집 곧 성전을 건축하려고 그 지대를 쌓던 날에 있었던 선지자들의 입의 말을 이 날에 듣는 너희는 손을 견고히 할지어다 [슥]8:10 이 날 전에는 사람도 삯을 얻지 못하였고 짐승도 삯을 받지 못하였으며 사람이 원수로 말미암아 평안히 출입하지 못하였으니 내가 모든 사람을 풀어 서로 치게 하였느니라 [슥]8:11 만군의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이제는 내가 이 남은 백성을 대하기를 옛날과 같이 아니할 것인즉 [슥]8:12 곧 평강의 씨앗을 얻을 것이라 포도나무가 열매를 맺으며 땅이 산물을 내며 하늘은 이슬을 내리리니 내가 이 남은 백성으로 이 모든 것을 누리게 하리라 [슥]8:13 유다 족속아, 이스라엘 족속아, 너희가 이방인 가운데에서 저주가 되었었으나 이제는 내가 너희를 구원하여 너희가 복이 되게 하리니 두려워하지 말지니라 손을 견고히 할지니라 스가랴서 8장은 7장의 벧엘 사람의 금식에 관한 질문에 책망하신 후에 주어지는 여호와의 위로의 말씀입니다. 결론적으로 오늘 본문은 예루살렘을 향한 하나님의 뜨거운 사랑에 근거하여 예루살렘에 주어질 축복을 약속합니다. 특별히 그 약속의 확실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만군의 여호와가 말하노라는 사실을 계속하여 강조합니다. 먼저 2절에서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2절, 만군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내가 시온을 위하여 크게 질투하며 그를 위하여 크게 분노함으로 질투하노라" 여기서 말하는 질투란 미움이 아니라 사랑의 다른 이름이지요. 특히 사랑의 속성중에서 배타적인 사랑을 강조할 때 이 질투라는 말을 사용합니다. 마치 부부간의 사랑처럼 관계의 절대성을 강조합니다. 이 질투하심으로 인해서 하나님께서 크게 두가지를 행하시는데, 긍정적으로 시온을 축복하는 일이고, 부정적으로 시온을 괴롭히는 자들을 징계하시는 것입니다. 시온을 위한 일중에서 가장 우선적이고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3절에서, 시온에 돌아와 예루살렘 가운데 거하신다는 것입니다. 그 결과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첬째, 이로인해 예루살렘은 진리의 성읍, 여호와의 산은 성산이라 불리우게 될 것입니다. 둘째, 거리에 늙은 남녀가 넘쳐나고 그 성읍거리에서 소년과 소녀들이 가득하게 뛰어놀것입니다. 이것은 고대의 가장 큰 축복인 장수와 출산의 복, 그리고 평화의 복을 누리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여호와께서 시온을 사랑하시기에 시온을 괴롭히는 자들을 징계하신다고 말씀합니다. 7,8절에서, 그 징계를 통해 하나님께서 그땅을부터 자기 백성을 구원하여 내고 그들을 인도하여 내사 다시 예루살렘에 거주하게 하시고 하나 님의 백성으로 살아가게 하실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이렇게 행하시고 이루신다는 것을 믿고 인정한다면 이스라엘의 마땅한 태도는 어떠해야 할까요? 9절과 13절에서 너희 손을 견고히 하라고 말씀합니다. 손을 견고히 하라는 것은 지금 행하고 있는 일을 힘써 완성하라는 것이지요. 이것은 지금 하고 있는 성전건축을 어려움속에서도 그것을 끝까지 완수하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그것을 통해 이스라엘을 이제 이방의 저줏거리가 아니라 복이 되게 할 것입니다. 더 나아가 이스라엘을 축복의 통로로 사용하실 것입니다. 10,11절을 보면 이전에는 수고하나 소득은 없고, 외부의 적로 인한 고난을 당하고, 경제적 어려움속에서 서로를 탓하며 분열하고 갈등 했지만 이제는 축복을 약속합니다. "12 곧 평강의 씨앗을 얻을 것이라 포도나무가 열매를 맺으며 땅이 산물을 내며 하늘은 이슬을 내리리니 내가 이 남은 백성으로 이 모든 것을 누리게 하리라" 하늘은 이슬을 내리고 땅은 산물을 내고, 포도나무는 열매를 맺고 이것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 평범한 일상을 회복하고 그 일상가운데 하나님의 은혜와 축복을 누리게 하겠다는 것이지요. 지극히 당연한 것 같은 이같은 일이 심판의 시기에는 당연하지가 않았습니다. 당연한 것이 당연하게 여겨지는 것이 얼마나 축복인지 모릅니다. 기억해야 할 것은 이러한 축복이 성전 재건과 함께 시작된다는 것입니다. 성전재건이라는 것이 단지 건물만 짓는 것이 아니지요. 그 성전을 중심으로 우리의 신앙을 새롭게 하고, 하나님의 임재가운데 하나님과 다른 사람들과의 아름다운 관계를 이루어가면서 아름다운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것입니다. 그때 이런 은혜와 축복이 이루어지는 것이지요. 지금 폐허가 된 이스라엘 땅, 거기에서 성전을 재건하는 것조차 힘든상황이고 외부의 공격을 이겨낼 힘조차도 없는데 이런 은혜를 상상조차 할수 있을까요? 그래서 6절에서 이런 일들이 사람들에게는 기이한 것처럼 보인다고 말씀합니다. 하지만 하나님 눈에는 전혀 기이하지 않지요. 하나님께서 이런 일들을 반드시 이루신다는 것을 말씀합니다. 이것이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주어진 소망입니다. 오늘도 그 소망의 하나님을 바라봅시다 그리고 그 하나님의 임재를 구합니다. 다시 우리 손을 견고히 하면서 마땅히 우리가 감당해야 할 일들을 힘써 감당하길 바랍니다. 그 가운데 하나님의 회복케 하심과 축복하심이 넘쳐나길 간절히 바랍니다.
Thông Tin
- Chương trình
- Tần suấtHằng ngày
- Đã xuất bảnlúc 00:31 UTC 13 tháng 8, 2025
- Thời lượng17 phút
- Xếp hạngSạ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