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계’의 강화, 그리고 ‘공존’의 재정의글로벌화 시대, 우리는 국경이라는 선이 점점 희미해지는 세상을 살아왔다고 믿어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유럽의 흐름을 보면 오히려 그 ‘선’이 더욱 굵고 단단해지는 듯합니다. 특히 이민과 난민 문제에 있어서 말입니다. 유럽연합(EU)은 오랫동안 인권과 포용의 가치를 앞세워 왔지만, 지금은 그 입장을 빠르게 바꾸고 있습니다.
유럽 각국의 정치 구도는 눈에 띄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의 조르자 멜로니 총리나 덴마크의 메테 프레데릭센 총리처럼, 전통적 좌우를 가리지 않고 강경한 이민 정책을 지지하는 정치인들이 중심에 서고 있습니다. “우리 방식이 너무 과격하다더니, 이제는 오히려 주류가 되고 있다”는 말처럼, 예전에는 극단적이라고 여겨졌던 주장들이 어느덧 유럽 의회의 중심으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단지 정당의 색깔 문제만은 아닙니다. 시민들의 체감 역시 무시할 수 없습니다. 중산층의 붕괴, 물가 상승, 주거난, 일자리 부족 등은 많은 유럽 시민들에게 "우리 삶이 위협받고 있다"는 위기의식을 심어주었습니다. 그 결과 이민자에 대한 불신이 퍼지고, 정치인들은 이를 ‘보호’를 명분으로 삼아 강경 정책으로 응답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번 변화에서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유럽연합 차원에서 ‘망명 신청자 제3국 이전’ 이라는 방식까지 논의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즉, 난민이나 이민 신청자를 자국이 아닌 다른 나라(예: 알바니아, 르완다)로 보내 심사를 진행하거나 거주하게 하겠다는 방식입니다. 이는 인권 단체와 국제사회에서 큰 우려를 낳고 있지만, 유럽 시민들 사이에서는 지지를 얻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물론, 국경을 지키고 질서를 유지하는 것은 중요한 국가의 책무입니다. 하지만 ‘합법적인 이민자도 잠재적 위협’으로 몰아가는 분위기, 혹은 ‘이민=범죄’라는 식의 단순화된 인식은 결국 사회 전체의 분열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한 걸음 물러나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과연 우리가 마주한 문제는 이민자 자체일까요? 아니면 기회와 자원의 부족, 복지 시스템의 취약성일까요?
특히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유럽 사회에서 노동 인구의 유입은 장기적으로 꼭 필요한 조건이기도 합니다. 의료, 돌봄, 운송, 요식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민자들은 이미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단지 숫자의 문제가 아니라, 이들과 어떻게 건강하게 공존할 것인가가 핵심입니다.
우리 시니어 세대는 이미 수많은 사회 변화를 겪어온 세대입니다. 전후 재건, 산업화, 민주화, 글로벌화까지—변화의 물결 속에서도 균형을 찾는 지혜를 배워왔습니다. 이제는 다문화 사회로 가는 과정 속에서도 그러한 지혜가 필요합니다.
어떤 변화든, 극단은 위험합니다. 두려움을 자극하는 정치 구호보다 중요한 것은, 실질적 통합의 모델입니다. 이민자들이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우리 이웃이 되어가는 과정에 대한 상상력과 정책이 더욱 절실해지는 시점입니다.
유럽이 선택한 길이 향후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지켜보아야 합니다. 하지만 그 변화가 우리 사회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는 지금부터 ‘국경 너머’의 이야기를 더 주의 깊게 바라보아야 할 것입니다.
출처: 캐어유 뉴스 https://www.careyounews.org/news/articleView.html?idxno=4338
Information
- Show
- FrequencyUpdated Daily
- PublishedJuly 25, 2025 at 9:00 PM UTC
- Length6 min
- Season1
- Episode72
- RatingCl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