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메리칸 지은이 : 헨리 제임스 * INDEX 00:02 채널북스 Comment & 리뷰 13:20 오디오북 Audiobook * 본 영상은 도서의 대체제가 될 수 없습니다. 도서를 읽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 책소개 에드거 앨런 포, 허먼 멜빌과 함께 가장 위대한 19세기 미국 작가 미국과 유럽의 문화와 관습의 차이를 통해 자아를 발견하는 미국인의 오디세이 “말하자면, 인생에는 그의 의지보다 더욱 강력한 힘이 존재하는 듯이 보였다. 그러나 이 불가사의한 힘은 악마일 수밖에 없었고, 그는 이 뻔뻔스러운 힘에 대해 극도의 적개심을 품었다.” 헨리 제임스의 초기 문학 세계를 엿볼 수 있는 작품인 『아메리칸』 소설에서 현대적 기법과 밀도 있는 심리 묘사를 구사한 제임스의 문학은 20세기 초의 작가들, 특히 조지프 콘래드, 포드 매독스 포드, 제임스 조이스, 버지니아 울프 등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헨리 제임스는 모두 22편의 소설과 113편의 단편, 그리고 수많은 비평, 여행기, 희곡, 자서전, 전기 등을 남겼다. 오늘날 헨리 제임스는 영미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서 확고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서양을 사이에 둔 미국과 유럽의 두 세계로부터 가장 넓은 독자층을 확보하고 있다. 국내에 소개된 헨리 제임스의 작품으로는 『여인의 초상』이 있다. 헨리 제임스는 1843년 뉴욕에서 지적으로 풍요로운 집안에서 태어났다. 아일랜드에서 이주해 와 사업으로 상당한 재산을 모은 조부 덕에 경제적 부담 없이 정신적 탐구에 몰두할 수 있었다. 태어난 지 6개월도 못 되어 부모들과 함께 대서양을 건너 유럽을 여행했다는 점에서도 코스모폴리탄적인 교육 배경을 엿볼 수 있으며, 이러한 풍요로운 가정환경, 일생에 걸친 외국 체험과 생활, 탁월한 감수성 등은 제임스 문학을 결정하는 요인이 되었다. 오늘날 헨리 제임스는 영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 확고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서양을 사이에 둔 미국과 유럽의 두 세계로부터 가장 넓은 독자층을 확보하고 있다. 헨리 제임스의 작품은 초기, 중기, 후기의 세 시기로 구분되는데, 초기의 작품은 1865년부터 1882년 사이에 나온 것으로, 이 기간의 작품은 대체로 미국과 유럽의 관습을 비교하는 국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 시기의 가장 대표적인 소설이 바로 이번에 출간되는 『아메리칸』으로, 《애틀랜틱》에 연재되어 1877년에 출간되었다. 청년이 되면서 제임스는 미국이 문화적 전통이 허약할 뿐만 아니라 그의 작품에 강한 자극이 되지 못함을 느끼면서 1869년 미국을 떠나 유럽으로 이주하였다. 이후 20년 만에 미국에 온 제임스는 거대하게 번창하는 미국 문명이 물질주의적 방향으로 치닫는 점에 회의를 느꼈고, 결국 1차대전에서 미국이 계속 중립적 입장을 취하는 것에 대한 항의로 미국 국적을 포기하고 영국으로 귀화하였다. 이로 인해 모국인 미국으로부터는 집중적인 비난을 받았으나, 영국에서는 조지 5세 국왕으로부터 명예훈장까지 받았다. * 채널북스 블로그 https://blog.naver.com/thedanny77 #아메리칸 #헨리제임스 #american #henryjames #미국 #미국인 #미국소설 #미국유럽차이 #미국유럽갈등 #미국유럽 #소설 #소설낭독 #소설추천 #고전 #고전소설 #고전읽기 #텍스트힙 #texthip #고전명작 #세계명작 #책 #책읽기 #책소개 #책추천asmr #책리뷰 #북리뷰 #도서추천 #재미있는 #재미있는이야기 #재미 #홍보영상 #오디오북세계명작 #오디오북세계명작50편 #오디오북소설 #오디오북명작 #오디오북추천 #오디오북고전 #오디오북고전을읽다 #오디오북asmr #무료오디오북 #유튜버 #오디오북 #audiobook #asmr #koreanasmr #koreanreading #koreanbook #bookreading #책홍보 #도서홍보 #작가홍보 #저자홍보 #출판사홍보 #책추천해주는남자 #책추천소설 #추천도서 #추천하는책 #북튜버 #책읽어주는남자 #채널북스
Information
- Show
- FrequencyUpdated Biweekly
- PublishedMay 22, 2025 at 9:30 AM UTC
- Length23 min
- RatingCl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