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캠퍼스 시즌 2

Unknown

오디오캠퍼스 시즌2를 시작합니다. 인문학, 아직도 읽기만 하세요? 이제 인문학도 들으세요. 수다로 풀어내는 인문학 방송 "오디오 캠퍼스 시즌2"가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철학과 역사, 문화와 예술까지, 인문학의 다양한 주제들을 수다로 풀어냅니다. 인문학 책에 관한 수다, , 인문학 전반에 관한 수다, 두 방송이 격주로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오디오캠퍼스를 들으세요. 생각이 열리고, 교양이 풍부해 집니다. ---------------------------- 이 방송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제작되는 팟캐스트로, 청소년인문학멘토그룹 '청포도'와 팟캐스트 '학자들의 수다'가 함께 만드는 방송입니다. 모두를 위한 인문학 방송, 여기는 팟캐스트 '오디오 캠퍼스'입니다. 진행자를 소개합니다. 김시천 / 상지대학교 교수, 팟캐스트 '학자들의 수다' 진행 강양구 / 뉴스톱 이사, 기자, 팟캐스트 'YG와 JYP의 책걸상' 진행 이종우 / 상지대학교 교수, 팟캐스트 '이박사와 이작가의 이이제이' 진행 오상현 / 청소년인문학멘토그룹 '청포도' 대표, 팟캐스트 '오디오캠퍼스 시즌1' 진행

  1. 2019/11/19

    〈책수다〉 마지막회 10회 “상상하지 말라” 숨겨진 욕망을 보는 법 (진행: 오상현, 강양구)

    〈책수다〉 마지막회 10회 “상상하지 말라” 숨겨진 욕망을 보는 법 (진행: 오상현, 강양구) 모두를 위한 인문학 팟캐스트 방송 “오디오캠퍼스 시즌2” 10회, “오디오캠퍼스 시즌2”의 마지막 방송에서 함께 읽을 책은 송길영 선생님의 책 “상상하지 말라”입니다. “책 읽는 수다” 방송 최초로 선정된 책이 아니라 다른 책을 더 추천하게 된 묘한(?) 방송이었습니다. ‘그들이 말하지 않는 진짜 욕망을 보는 법’이라는 부제가 구미를 당기시나요? 이번 방송은 책을 읽은 후가 아니라, 읽기 전에 들으실 것을 추천합니다. 벌써 끝인사를 드려야 할 시간입니다. 그동안 “오디오캠퍼스 시즌2”를 애청해주신 모든 분들에게 깊이 감사드립니다. 저희 진행자와 제작진은 이제 다시 각자의 자리로 돌아가지만, 보내주신 성원만큼은 잊지 않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책 읽는 수다’가 고른 책 1회 김태형, “트라우마 한국사회”, 서해문집, 2013. 2회 앤드루 양, “보통 사람들의 전쟁”, 흐름출판, 2019. 3회 김효진·남기정·서동주·이은경·조관자·정지희 공저, “난감한 이웃 일본을 이해하는 여섯 가지 시선”, 위즈덤하우스, 2018. 4회 조천호, “파란하늘 빨간지구”, 동아시아, 2019. 5회, 조영태, “정해진 미래” 북스톤, 2016. 6회 프랭클린 포어, “생각을 빼앗긴 세계”, 반비, 2019. 7회, 이철승, “불평등의 세대”, 문학과지성사, 2019. 8회, 마강래, “지방도시 살생부”, 개마고원, 2017. 9회, 주영민, “가상은 현실이다”, 어크로스, 2019. 10회 송길영, “상상하지 말라”, 북스톤, 2019(2015).

    1 小时 7 分钟
  2. 2019/11/18

    〈책수다〉 9회 “가상은 현실이다” 가상과 현실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다 (진행: 오상현, 강양구)

    〈책수다〉 9회 “가상은 현실이다” 가상과 현실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다 (진행: 오상현, 강양구) 모두를 위한 인문학 팟캐스트 방송 “오디오캠퍼스 시즌2” 9회에서 만나볼 책은 주영민 선생님의 “가상은 현실이다”입니다. ‘페이스북, 알파고, 비트코인이 만든 새로운 질서’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이 책을 통해 가상과 현실의 경계가 사라진 우리 시대를 이야기합니다. 온라인에서 진짜가 되는 사람들에게 삶은 가짜입니다. 로봇과 인간은 서로 어떻게 닮아갈까요? 가상화폐의 광풍이 또 다시 불어올까요? 끝없는 질문들과 함께한 9회 방송에 함께 읽은 책, “가상은 현실이다”를 추천해주신 청취자 “진달래아빠”님에게 특별한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책 읽는 수다” 마지막 시간에 다룰 책은 송길영 선생님의 “상상하지 말라”입니다. 청취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구독, 그리고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책 읽는 수다’가 고른 책 1회 김태형, “트라우마 한국사회”, 서해문집, 2013. 2회 앤드루 양, “보통 사람들의 전쟁”, 흐름출판, 2019. 3회 김효진·남기정·서동주·이은경·조관자·정지희 공저, “난감한 이웃 일본을 이해하는 여섯 가지 시선”, 위즈덤하우스, 2018. 4회 조천호, “파란하늘 빨간지구”, 동아시아, 2019. 5회, 조영태, “정해진 미래” 북스톤, 2016. 6회 프랭클린 포어, “생각을 빼앗긴 세계”, 반비, 2019. 7회, 이철승, “불평등의 세대”, 문학과지성사, 2019. 8회, 마강래, “지방도시 살생부”, 개마고원, 2017. 9회, 주영민, “가상은 현실이다”, 어크로스, 2019. 10회 송길영, “상상하지 말라”, 북스톤, 2019(2015).

    1 小时 6 分钟
  3. 2019/11/17

    〈책수다〉 8회 “지방도시 살생부” 지방도시가 사라지고 있다. 서울도 안전할 수 없다 (진행: 오상현, 강양구)

    〈책수다〉 8회 “지방도시 살생부” 지방도시가 사라지고 있다. 서울도 안전할 수 없다 (진행: 오상현, 강양구) 모두를 위한 인문학 팟캐스트 방송 “오디오캠퍼스 시즌2” 8회에서 만나볼 책은 마강래 선생님의 책 “지방도시 살생부”입니다. 마스다 히로야의 책 “지방 소멸”이 출간되고 그 파장은 일본을 넘어 우리나라까지 미쳤습니다. 전북 김제, 강원 삼척, 경북 문경 등 한 번 쯤 들어보고 여행으로 들렀던 지방도시들이 곧 사라진다고 합니다. ‘도시가 사라진다’는 말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대통령은 ‘지방분권’을 말했습니다. 시대적 흐름이지요. 하지만 ‘지방소멸’이라는 현실적 문제와 만나면 얼핏 양립하기 어려워 보이기도 합니다. 과연 이 난제를 풀어갈 해법은 무엇일까요? 9회 방송에서는 청취자가 추천하신 책을 골랐습니다. 주영민 선생님의 책 “가상은 현실이다”와 함께 하겠습니다. 청취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구독, 그리고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책 읽는 수다’가 고른 책 1회 김태형, “트라우마 한국사회”, 서해문집, 2013. 2회 앤드루 양, “보통 사람들의 전쟁”, 흐름출판, 2019. 3회 김효진·남기정·서동주·이은경·조관자·정지희 공저, “난감한 이웃 일본을 이해하는 여섯 가지 시선”, 위즈덤하우스, 2018. 4회 조천호, “파란하늘 빨간지구”, 동아시아, 2019. 5회, 조영태, “정해진 미래” 북스톤, 2016. 6회 프랭클린 포어, “생각을 빼앗긴 세계”, 반비, 2019. 7회, 이철승, “불평등의 세대”, 문학과지성사, 2019. 8회, 마강래, “지방도시 살생부”, 개마고원, 2017. 9회, 주영민, “가상은 현실이다”, 어크로스, 2019. 10회 송길영, “상상하지 말라”, 북스톤, 2019(2015).

    1 小时 10 分钟
  4. 2019/11/03

    〈책수다〉 7회 “불평등의 세대” 혁신을 부르짖던 386이 혁신의 대상이 되어버린 이유 (진행: 오상현, 강양구)

    〈책수다〉 7회 “불평등의 세대” 혁신을 부르짖던 386이 혁신의 대상이 되어버린 이유 (진행: 오상현, 강양구) 모두를 위한 인문학 팟캐스트 방송 “오디오캠퍼스 시즌2” 7회에서 만나볼 책은 이철승 선생님의 책 “불평등의 세대”입니다. 불평등에 맞서 민주화를 이끌어낸 386 세대는 어쩌다 불평등을 더욱 고착화시킨 원흉(?)이 되었을까요? ‘청산’을 부르짖으며 혜성처럼 등장했던 ‘젊은 피’는 어쩌다 ‘청산’의 대상이 되었을까요? 20대 국회의원의 83%가 386세대라고 합니다. 무려 83%가. 무려 83%가. 방송에 추천하실 책이나, 청취 후기 언제나 환영합니다. 8회 방송에서는 존망의 기로에 선 지방도시들의 미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마강래 선생님의 책 “지방도시 살생부”와 함께 하겠습니다. 청취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구독, 그리고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책 읽는 수다’가 고른 책 1회 김태형, “트라우마 한국사회”, 서해문집, 2013. 2회 앤드루 양, “보통 사람들의 전쟁”, 흐름출판, 2019. 3회 김효진·남기정·서동주·이은경·조관자·정지희 공저, “난감한 이웃 일본을 이해하는 여섯 가지 시선”, 위즈덤하우스, 2018. 4회 조천호, “파란하늘 빨간지구”, 동아시아, 2019. 5회, 조영태, “정해진 미래” 북스톤, 2016. 6회 프랭클린 포어, “생각을 빼앗긴 세계”, 반비, 2019. 7회, 이철승, “불평등의 세대”, 문학과지성사, 2019. 8회, 마강래, “지방도시 살생부”, 개마고원, 2017. 9회, 주영민, “가상은 현실이다”, 어크로스, 2019.

    1 小时 7 分钟
  5. 2019/10/27

    〈인문학 수다〉 1회 “나는 인문학을 어떻게 공부해 왔는가?” (출연: 김재인, 김호연, 함돈균, 김시천)

    안녕하세요, 2019년 10월 28일 월요일 아침입니다. 오늘은 〈인문학 수다〉 제1회로, “나는 인문학을 어떻게 공부해 왔는가?” 라는 주제로 수다를 나눕니다. 오늘부터 3회에 걸쳐 철학, 역사, 문학을 공부한 네 사람이 함께 수다하는 〈인문학 수다〉가 연재됩니다. 철학자 김재인, 역사학자 김호연, 문학비평가 함돈균 세 선생님과 함께 자전적이며, 솔직담백한 공부 이야기로 인문학을 왜, 어떻게 공부했고, 공부해 왔는가에 대해 다양한 수다를 나눕니다. 이구동성으로 나누었던 이야기는 우연이 쌓이고, 만남이 계기가 되어 어쩌다 보니 인문학을 공부하는 삶을 살게 되었지만, 어쩌면 삶 자체가 곧 인문학이 우러나오는 토대이자 배경이고, 곧 인문학이기도 하다는 단순한 사실에 마주하게 되는 시간이었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청취자 여러분들께서도 왜 인문학을 공부하는지, 어떻게 해 왔는지 스스로 생각해 보며, 생각을 나누는 시간이 되길 빕니다. 이 방송은 청소년인문학멘토그룹 청포도와 팟캐스트 학자들의 수다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제작하고 있습니다. 애청자 여러분의 성원과 응원을 부탁드립니다.

    1 小时 3 分钟
  6. 2019/10/20

    〈책수다〉 6회 “생각을 빼앗긴 세계” 페이스북과 구글이 숨기고 있는 무시무시한 비밀들 (진행: 오상현, 강양구)

    〈책수다〉 6회 “생각을 빼앗긴 세계” 페이스북과 구글이 숨기고 있는 무시무시한 비밀들 (진행: 오상현, 강양구) 모두를 위한 인문학 팟캐스트 방송 “오디오캠퍼스 시즌2” 6회에서 만나볼 책은 프랭클린 포어의 책 “생각을 빼앗긴 세계”입니다. 페이스북, 구글, 애플, 아마존 등 거대 테크 기업들이 세상을 마음대로 조종한다면 어떨까요? 적어도 그런 야심 위에 엄청난 전략들이 이미 진행 중이라면 믿으시겠어요? 이번 방송에서는 “거대 테크 기업들은 어떻게 우리의 생각을 조종하는가”라는 다소 도발적인 부제를 달고 있는 프랭클린 포어의 책 “생각을 빼앗긴 세계”를 함께 읽습니다. 우리의 생각을 빼앗으려는 거대 기업들, 그리고 빼앗기지 않기 위한 우리들의 전략들이 여러분을 기다립니다. 방송에 추천하실 책이나, 청취 후기 언제나 환영합니다. 7회 방송에서는 한국사회의 불평등을 만든 자들을 파헤칩니다. 이철승 선생님의 책 “불평등의 세대”와 함께 하겠습니다. 청취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구독, 그리고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책 읽는 수다’가 고른 책 1회 김태형, “트라우마 한국사회”, 서해문집, 2013. 2회 앤드루 양, “보통 사람들의 전쟁”, 흐름출판, 2019. 3회 김효진·남기정·서동주·이은경·조관자·정지희 공저, “난감한 이웃 일본을 이해하는 여섯 가지 시선”, 위즈덤하우스, 2018. 4회 조천호, “파란하늘 빨간지구”, 동아시아, 2019. 5회, 조영태, “정해진 미래” 북스톤, 2016. 6회 프랭클린 포어, “생각을 빼앗긴 세계”, 반비, 2019. 7회, 이철승, “불평등의 세대”, 문학과지성사, 2019. 8회, 마강래, “지방도시 살생부”, 개마고원, 2017.

    1 小时 19 分钟

评分及评论

4
共 5 分
2 个评分

关于

오디오캠퍼스 시즌2를 시작합니다. 인문학, 아직도 읽기만 하세요? 이제 인문학도 들으세요. 수다로 풀어내는 인문학 방송 "오디오 캠퍼스 시즌2"가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철학과 역사, 문화와 예술까지, 인문학의 다양한 주제들을 수다로 풀어냅니다. 인문학 책에 관한 수다, , 인문학 전반에 관한 수다, 두 방송이 격주로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오디오캠퍼스를 들으세요. 생각이 열리고, 교양이 풍부해 집니다. ---------------------------- 이 방송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제작되는 팟캐스트로, 청소년인문학멘토그룹 '청포도'와 팟캐스트 '학자들의 수다'가 함께 만드는 방송입니다. 모두를 위한 인문학 방송, 여기는 팟캐스트 '오디오 캠퍼스'입니다. 진행자를 소개합니다. 김시천 / 상지대학교 교수, 팟캐스트 '학자들의 수다' 진행 강양구 / 뉴스톱 이사, 기자, 팟캐스트 'YG와 JYP의 책걸상' 진행 이종우 / 상지대학교 교수, 팟캐스트 '이박사와 이작가의 이이제이' 진행 오상현 / 청소년인문학멘토그룹 '청포도' 대표, 팟캐스트 '오디오캠퍼스 시즌1'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