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외계인 팟캐스트

#628 《위대한 책, 잘못된 논증》 해설 (7)

국가(polis)/혼(psychē) 비유에 관한 중요한 질문

* 플라톤이 자신의 이상적 사회를 뒷받침한 논증들은 충분히 독창적임

* 실패한 이유에 대해 철학자들이 주목할만한 가치가 있음

* 그러나 사회학적 관점에서 볼 때 중요한 질문은,

* '플라톤이 구분한 다양한 유형의 사회의 속성이 그 사회 구성원들의 속성에 얼마나 의존하는가?'

* 국가(polis)는 시민들의 "형상과 성향"(eidē and ēthē)을 공유해야 한다고 말함 (435e)

* 이는 국가(polis)와 혼(psychē)의 삼분법적 구분(국가/혼 비유)만큼이나 플라톤 주석자들을 많은 곤경에 빠뜨렸음

* 그러나 참주 정체의 피통치자들 자신은 참주 정체적이지 않으며, 플라톤 자신도 참주 정체화된 polis에 대해 그 안에서 최고의 요소를 구성하는 자유인들이 불명예스럽고 비참한 노예 상태로 전락한다고 인정함 (577c)

* "형상과 성향"이 공유되고 있지 않음

* 따라서 올바른 사회가 대다수 올바른 시민들로 이루어져 창조되고 유지될 수 있는지의 여부는 통치자들이 피통치자들에게 보여주는 행동에서 나타나는 올바름의 의미에 달려 있음

* 올바른 사람이 올바른 방식이 polis가 올바른 방식과 같다면(441d),

* 올바른 polis가 올바른 사람들로 가득 차 있다는 의미일까?

* 올바른 소수가 부정의한 다수를 마치 올바른 사람이 부정의하게 행동하려는 자신의 유혹을 통제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통제하는 곳이라는 의미일까?

* '국가/혼 비유'를 사용한 것은 플라톤이 이 양쪽 모두를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라고 봄 — 버나드 윌리엄스

플라톤의 '올바른' 사회

* 플라톤이 말하는 올바른 사회

* 모든 시민 범주의 구성원이 해당 범주에 적합한 기능만 수행하는 사회

* 단순히 정체(政體)가 공정하게 운영되고, 세금이 공공의 이익을 위해 쓰이며, 법원이 계약을 지지하고, 시민들이 필요할 때 공적 의무를 다하며, 타인의 재산을 훔치거나 폭력으로 타인을 폭행하는 사람이 잡혀 처벌을 받는 사회가 아님 (💡현대의 관점에는 올바른 사회)

* 올바른 사람은 모든 사람을 정당하게 대우하는 사람이 아니라, 자신의 신분과 그 안에서 자신의 의무를 의심 없이 받아들임으로써 자신의 개인적인 이익과 선호를 자신이 속한 사회의 복지에 종속시키는 사람

* dikaiosynē(디카이오시네)

* "자기 자신의 일을 하는 것"(ta hautou prattein)

* 영어로는 일반적으로 'just'(올바른)로 번역함

* 소크라테스는 "올바른" 개인과 사회가 좋음의 형상에 최대한 가까워지기 위해 충족해야 하는 실질적인 조건들을 자세히 설명함

* 소크라테스의 실수

* 올바른 사회의 시민 대부분이 자신의 조건을 충족하는 사회는 그렇지 않은 사회보다 더 조화롭고 질서 있을 수밖에 없고,

* 그 조건을 충족하는 사람은 그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원하지 않는 사람보다 동기의 충돌로 인해 덜 괴로워한다고 가정하는 것

* 조화롭고 질서 있는 사회에서 시민들은 각자에게 가장 적합한 일을 수행할 것이라고 생각함

* 통치자는 통치할 자격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만큼이나 반대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일 수 있음

자유의 제한이 자신들을 위한 것이라는 데 동의하기 원함

* 소크라테스는 처음에 사회를 탄생시키는 것이 무엇인지를 검토할 때, 상호간 필요에 의해 결정되는 분업을 지적하며, 이들은 노동의 결과물을 승인된 상호간 이익을 위해 교환할 것이라고 말함(제2권)

* 플라톤은 올바른 사회가 수호자, 보조자, 생산자라는 세 개의 분리된 사회계층 간에 기능 분담을 엄격하게 시행하여 제화공이 제화공의 역할에서 벗어나고 싶더라도 그 자리에 머물러야만 한다고 주장함 (374b)

* 나중에 소크라테스는 구두장이가 건축을 하고 싶어 하거나 건축가가 신발을 만드는 일을 하고 싶어 하는 것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인정함 (434a)

* 그러나 생산자가 보조자가 되려고 하거나 보조자가 수호자가 되려고 하는 것은 polypragmosynē, 즉 남의 일에 간섭하려는 충동

* 소크라테스는 이를 "무엇보다도 더 한 악행"(malista kakourgia)이라고까지 비난함 (434c)

* 실제로 실행 불가능한 것은 없음

* 예를 들어 후기 로마제국, 힌두교의 인도, 제정 러시아에서 통치자들은 노동자들이 아버지의 직업을 따라 평생 그 직업을 유지하도록 강요하는 효과적인 제도적 제재(制裁)를 마련했음

* 플라톤의 어려움은 두 하위 사회계층(보조자, 생산자)의 구성원들이 이러한 자유의 제한이 통치자들뿐만 아니라 자신들을 위한 것이라는 데 동의하기를 원한다는 것 (💡자발적 동의를 위한 설득. '다 너희들 위해서 그러는 거야!')

* 두 하위 계층은 올바른 사회에서 여전히 존재하는 노예들에게 행사하는 직접적인 강압적 통제의 형태에 종속되지 않음 (433d)

* 그들은 통치자들에 의해 자신들에게 주어진 역할에 순응하도록 교육받았기 때문에 통제될 필요가 없음(💡이것은 교육인가 세뇌인가?)

(다음주에 계속)



This is a public episode. If you would like to discuss this with other subscribers or get access to bonus episodes, visit seoulalien.substac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