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외계인 뉴스레터 636호 《위대한 책, 잘못된 논증》 해설 (9) — 이기주의자로 잘 살 수 있음에도 이타주의자들이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https://seoulalien.substack.com/p/636
제2장 《국가》 (pp.29-33)
요점
* 소크라테스는 트라시마코스의 "올바른 것이란 '더 강한 자의 편익' 이외에 다른 것이 아니"(338c)라는 주장을 제대로 논박하지 못함
* 이 논의를 더 이어갔다면, 소크라테스의 이상 사회 역시 트라시마코스가 주장한 사회의 한 예라고 말할 수 있었음
* 소크라테스의 말처럼 올바르게 행동해야 하는 이유가 유형의 보상을 얻기 위함이라면, 올바르게 행동하는 이유는 순전히 도구적인 것, 즉 보상을 얻기 위한 수단이 되어버림
* 그렇다면 진짜로 올바른 사람인 척만 해도 효과적일 수 있음
* 아데이만토스 & 글라우콘의 관심사와 대가 없이 타인의 이익을 우선하는 행동에 대한 현대 사회학자들의 관심사에는 유사성 있음
* 소크라테스의 관점에서, 올바르지 못한 인간은 이기주의자, 올바른 인간은 이타주의자임
* 현실에서는 이기주의자가 승리하지만 모든 사람이 그렇게 행동하는 것은 아니고, 이타주의자가 존재함. 그 이유는?
This is a public episode. If you would like to discuss this with other subscribers or get access to bonus episodes, visit seoulalien.substack.com
정보
- 프로그램
- 주기매일 업데이트
- 발행일2024년 11월 14일 오후 10:59 UTC
- 길이10분
- 등급전체 연령 사용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