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이준희,이영미 오늘 이야기:무대극 주제가 <동백꽃>(이애리수) 1931년 6월 단성사에서 상연된 이서구 작, 연극시장 향토비극 <동백꽃> 주제가. 고범 작사, 전수린 작곡. 음반에는 고범, 즉 이서구 작사로 표기되어 있으나, 실은 김동환이 1929년에 <팔려가는 섬색시>로 발표한 가사를 약간 다듬은 개작. 이서구가 희곡 <동백꽃>을 쓸 때 주제가로 쓰기 위해 김동환의 가사를 사용. <황포강 이슬>(계수남) 1940년 4월 제일극장에서 상연된 임선규‧송영 작, 박진 연출, 아랑 연극 <김옥균> 주제가. 이서구 작사, 김준영 작곡. 같은 날 동양극장에서는 청춘좌 연극 <김옥균전>(김건 작)도 상연. 소재가 같은 두 연극의 ‘동서’ 경연이 장안의 화제가 되기도. 주제가는 6월 부민관 재상연 때부터 등장한 것으로 추정. <심봉사의 탄식>(김용환) 1941년 8월 부민관에서 상연된 아세아가요단 악극(?) <심청전> 주제가로 추정. 증언에 의하면 서울 공연 이전에 평양 금천대좌에서 초연이 있었다고. 이부풍 작사, 김양촌(김용환?) 작곡. 음반은 1940년 1월 신보로 이미 발매되었고, ‘구극’ 심청전 주제가로 홍보. 당대 기록이 분명하지는 않지만, 악극 <심청전>에서 심봉사 역을 맡은 김용환의 열연과 인상적인 작곡에 대해서는 복수의 증언이 존재. <낙화삼천>(김정구) 1941년 7월 명치좌에서 상연된 조명암 작·연출, 김해송 작곡, 김민자 안무, 조선악극단 그랜드레뷰 ‘백제 애사’ <낙화삼천> 주제가. 조명암 작사, 김해송 작곡. 그랜드레뷰 <낙화삼천>은 앞서 1941년 5월 부민관에서 상연된 무용시 <부여 회상곡>과 의상을 공유(둘 다 이철이 공연 제작). 이철은 원래 1941년 3월 조선악극단 공연에서 그랜드레뷰 <낙화삼천> ‘선빵’을 추진했던 것으로 보이나, 무산. <흘러온 남매>(남인수·이난영·계수남·심연옥·노명애) 1947년 9월 중앙극장에서 상연된 김해송·윤부길 작, 김해송 작곡, 홍청자 안무, K.P.K악단 ‘오페레타’ <남남북녀> 주제가. 김해송 작사·작곡. 해방 전 군국가요 <총후의 자장가>(조명암 작사), <남북형제>(조명암 작사, 이봉룡 작곡)의 곡조와 가사를 재활용. 고려레코드에서 발매된 두 번째 국산 대중가요 음반에 수록되었고, 다른 면에는 제목이 같은, 역시 <남남북녀> 주제가로 쓰인 이난영과 심연옥의 노래도 수록. <꽃 중의 꽃>(박정심) 1951년 5월 부산 동아극장에서 상연된 이서구 작, 허남실 등 연출, 황문평 작곡, 창공가극단 ‘실화가극’ <마음의 정화> 주제가.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져 3~4월쯤(?)에 전파를 탄 방송극 <다시 만날 때>가 가극의 원작. 이후 공보실 요청에 따라 주제가 곡조에 새로 제목과 가사를 붙인 <꽃 중의 꽃>이 만들어져 1956년 11월(?)에 강준희의 노래로 처음 방송되었다고 하며, 1958년에 음반으로 발매. <살짜기 옵서예>(패티김) 1966년 10월 서울 시민회관에 상연된 김영수 작, 최창권 작곡, 백은선·임영웅 연출, 예그린악단 뮤지컬 <살짜기 옵서예> 주제가. 1961년 12월에 창단되었다가, 1963년 2월에 해산하고, 1966년 4월에 부활한 예그린악단의 ‘재기작’. 입장에 따라 한국 최초의 뮤지컬로 평가되기도. 고전소설 <배비장전>을 각색한 내용으로, 패티김·후라이보이·김성원 등 출연. 1966년 연말쯤 뮤지컬 <살짜기 옵서예> 다른 곡들과 함께 오아시스레코드 ‘특별판’(음반번호 없음)으로 발매. 김영수 작사, 최창권 작곡 <금관의 예수>(양희은) 1972년 2월에 상연된 김지하·이동진 작, 최종률 연출, 상설무대 연극 <금관의 예수> 주제가. 김지하 작사, 김민기 작곡. 1973년 8월~1976년 10월 사이에 일본 한민통에서 제작한 음반에 수록. 비공식적 녹음이 언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는 불명. 국내에서는 1977년(?) 양희은 음반에 <주여 이제는 그곳에>로 처음 수록되었으나, 양희은 작사·작곡으로 표기되었고 가사도 개작.
情報
- 番組
- 頻度アップデート:毎週
- 配信日2024年11月26日 3:00 UTC
- 長さ1時間51分
- 制限指定不適切な内容を含まな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