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타쿠 대학원생들의 수다

오대수

애니메이션 심층해부! 덕후 대학원생들의 쓸데없이 진심인 학술적 발광

Episodes

  1. 4D AGO

    [여름방학 특집 II] 디지몬과 포켓몬 보던 꼬맹이들은 커서 이런 대화를 한다

    [여름방학 특집 II] 디지몬과 포켓몬 보던 꼬맹이들은 커서 이런 대화를 한다 [스포일러 주의] 이 콘텐츠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타쿠 대학원생들의 본격 애니메이션 수다, 오대수입니다 :) 개학을 앞두고 여름방학 마지막(?) 특집으로, 추억의 포켓몬 & 디지몬 이야기를 실컷 나눠봤어요! :D 비판도, 응원도 모두 감사히 받아들입니다. 그것을 위한 팟캐스트니까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할 수 있다는 걸 잘 알고 있어요. !!하지만 악의적인 댓글, 무례함엔 채널주도 참지 않긔!! 말씀드릴 것이 몇가지 있어요! 1.이상해씨가 거북이라고 잘못 말씀드렸는데, 사실 거북이는 꼬부기입니다 ㅠㅠ 착각해서 헷갈리게 말씀드렸네요! 2.포켓몬들에게 언어가 없다고 말할 때, 사실은 언어 자체가 없는 것이 아니라 그들만의 언어가 분명히 존재하지만 인간이 알아들을 수 없다는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도 인간이 이해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이들을 ‘소통할 수 없는 존재’로 규정해 버리는 태도를 지적하고 싶었습니다. 결국 포켓몬의 의사 표현이 단순해 보이는 건, 그들의 표현 방식이 제한적이어서가 아니라 인간에게 종속된 위치 때문에 자유로운 표현이 불가능한 상황에 놓여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3.방송 말미쯤 언급했던 요즘 사람들이 단편적인 서사를 선호하는 이유를 조금 더 설명해 드리고 싶어요! 긴 이야기를 따라가는데 드는 시간과 에너지를 아끼고 싶어 하기도 하고,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라 간단하고 즉각적인 재미를 주는 콘텐츠를 찾는 경향이 강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주술회전이나 진격의 거인처럼 깊고 복잡한 서사도 여전히 존재하죠 :) 하지만 예전보다 이런 작품이 줄어든 건 사실인 것 같아요...! 플랫폼과 시장 전체를 보면 점점 짧고 빠른 콘텐츠 중심으로 흐르고 있기 때문인 듯합니다 ㅠㅠ 복잡한 이야기가 완전히 사라진 건 아니지만 지금은 빠르게 소비되고 금방 몰입할 수 있는 콘텐츠가 대세인 시대라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었습니다. 참고해서 들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Appadurai, A. (1996). Modernity at large: Cultural dimensions of globaliz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Iwabuchi, K. (2002). Recentering globalization: Popular culture and Japanese transnationalism. Duke University Press. Kinsella, S. (1995). Cuties in Japan. In L. Skov & B. Moeran (Eds.), Women, media and consumption in Japan (pp. 220–254). Curzon Press. Lyotard, J.-F. (1991). The postmodern condition: A report on knowledg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Tomlinson, J. (1991). Cultural imperialism: A critical introduction. Continuum. 김상범. (2022). 보드리야르 연구. 생각나눔. 김윤아. (2001). 디지몬 연구. 영상문화, 3, 16–32. 김윤아. (2010). 애니메이션 이미지의 ‘진화’에 관한 연구: 몬스터 애니메이션 와 의 캐릭터를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18, 37–56.

    1h 5m
  2. JUL 15

    [여름방학 특집] 일본의 남성성 수다: 이누야샤에서 카제하야, 리바이까지

    [스포일러 주의] 이 콘텐츠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타쿠 대학원생들의 본격 애니메이션 수다, 오대수입니다 :) 오늘은 방학 특집으로 사심을 가득담은 일본의 남성성을 중심으로 5화 방송을 준비했어요. 비판도, 응원도 모두 감사히 받아들입니다. 그것을 위한 팟캐스트니까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할 수 있다는 걸 잘 알고 있어요. !!하지만 악의적인 댓글, 무례함엔 채널주도 참지 않긔!! 말씀드릴 것이 몇가지 있어요! 1. 『진격의 거인』이 2013년에 방영된 애니메이션으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원작 만화가 2009년부터 연재되기 시작했습니다. 애니메이션은 2013년에 처음 방영되었고요. 초반에는 비교적 인기가 미미했으나, 2010년 말부터 점차 주목을 받기 시작했고, 2011년 이후에는 폭발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시점이 동일본 대지진(2011)과 맞물려 있는 점은 흥미로운 사회적 배경으로, 물론 작품 자체의 스토리 완성도나 캐릭터의 매력 등 여러 요소들이 인기에 영향을 주었겠지만, 당대의 사회적 분위기와 연결지어 해석해볼 여지도 있다고 생각해 언급해보았습니다. 2. 사무라이 관련 내용을 말씀드리는 과정에서, 우리나라 무관과의 비교가 자칫하면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표현으로 들릴 수도 있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의도했던 바는 결코 그런 방향이 아니었고, 단지 개인적으로 머릿속에 그려지고 있던 이미지나 인상 차이를 설명하려다 보니 그런 식으로 전달된 것 같습니다. 혹여 불편하게 느끼셨다면 너그러이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Brown, R. (2012). Yasuoka Masahiro’s ‘New Discourse on Bushido Philosophy’: Cultivating the Samurai Spirit and Men of Character for Imperial Japan. Social Science Japan Journal, 16(1), 107–129. Kincaid, C. (2015, November 1). Gender roles of men in Japanese society. Japan Powered. https://www.japanpowered.com/japan-culture/gender-roles-of-men-in-japanese-society Koikari, M. (2019). Re-masculinizing the Nation: Gender, Disaster, and the Politics of National Resilience in Post-3.11 Japan. Japan Forum, 31(2), 143–164. Kosciesza, A. J., & Darling-Wolf, F. (2023). What’s so great about GTO?: Evolving discourses of Japanese masculinity in Great Teacher Onizuka. Television & New Media, 24(8), 929–944. https://doi.org/10.1177/15274764231162890 Mas, T. (n.d.). Otaku and the struggle for imagination in Japan. https://www.iias.asia/the-review/otaku-and-struggle-imagination-japan Mathew, M. A. (2024). Examining gender representations in the pilot episode of the anime Attack on Titan. Feminist Media Studies, 1–7. https://doi.org/10.1080/14680777.2024.2358091 머어엉. (2024, February 21). 진격의 거인 '리바이 아커만' 50가지 TMI [Video]. YouTube. https://youtu.be/cKEXiGkHuuc Pal, S. (2024). I'd kill to belong! Comparing Brahmanical, Samurai, and gentleman masculinities in the early modern period. The Journal of Men's Studies, 33(2), 277–301. https://doi.org/10.1177/10608265241282950 Saladin, R. (2017). Herbivore masculinity in media discourse: The Japanese TV drama Ohitorisama. Intersections: Gender & Sexuality in Asia & the Pacific, 41, 1–13. Sugihara, Y., & Katsurada, E. (2000). Gender-role personality traits in Japanese culture.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4, 309–318. Woźny, A. (2025). Domesticating the salaryman: Marriage promotion, hybrid masculinity, and the resignification of reproduction in Japan. Men and Masculinities. https://doi.org/10.1177/1097184X251328018 김미영. (2009, May 6). ‘잠’만 자는 신인류, 초식남. 한겨레. https://h21.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24900.html 김시덕. (2012). 문화: 일본의 무사도란 무엇인가? 선비문화, 22, 99–110. 우성범. (2019). 한국 남성의 남자다움은 무엇인가?: 남성성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5(3), 203–229. 양이문. (2007). 한·일 양국의 게임문화에 대한 비교연구: 온라인게임(한국), 비디오게임(일본)을 중심으로. 세계화와 디아스포라, 141–158.

    56 min
  3. JUN 2

    [2025-1학기 전쟁편] 바이올렛 에버가든 : 싸우는 소녀, 치유하는 소녀 그 사이

    [스포일러 주의] 이 콘텐츠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타쿠 대학원생들의 본격 애니메이션 수다, 오대수입니다 :) 오늘은 많은 분들이 사랑하는 작품, 을 주제로 4화 방송을 준비했어요. 드디어 1학기가 끝났네요! 떨리는 마음으로 첫 방송을 시작한 게 엊그제 같은데, 어느새 1학기를 마무리하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많은 분들이 방송을 들어주시고 응원해 주셔서, 늘 감사한 마음으로 한 회 한 회 녹음하고 있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곧 방학 특집으로 다시 찾아올 예정이니, 그때도 꼭 함께해 주세요 :) 우리 또 만나요! 몇 가지 참고하셨으면 하는 내용이 있어요: 1.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과 관련해 언급한 부분인데요, 해당 개정안은 아동성착취물의 범위를 그림, 만화, 사진, 화보 등으로까지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습니다. 이 법안이 발의되면서 아동성착취물에 대한 논의가 다시 불거졌고, 이후에는 철회된 상태입니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만화, 애니메이션, CG 등은 아동 음란물의 범주에서 제외된다고 합니다.(출처: 안상우. (2025년 4월 22일). [취재파일] 우리만 '아동 성착취물 만화' 처벌한다고? [사실은 A/S]. SBS.) 2. 뉴진스 관련 논란에 대해 녹음 중 기억이 정확하지 않아 설명이 다소 모호했던 점을 바로잡고자 합니다. 뉴진스와 배틀그라운드(PUBG)의 콜라보레이션에서, 멤버들의 게임 내 캐릭터에 수영복 등 노출이 많은 의상이 적용되었고, 이를 캡처해 온라인에 공유하는 사례가 발생하면서 성적 대상화 및 성희롱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이에 대해 게임사 크래프톤과 뉴진스 소속사 어도어는 공식 입장을 발표하며, 해당 행위가 브랜드 이미지와 가치에 부합하지 않으며, 모든 팬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행동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논란에 따라 부적절한 아이템 조합 제한, 유저 제재, 환불 및 보상 조치 등 여러 대응이 이루어졌습니다.(출처: 박로사. (2024년 6월 20일). 뉴진스, 게임서 성희롱 피해 “상황 심각, 적극 대응할 것” [전문]. 스타투데이) * Butler, J. (2018). Precarious life (J. Yoon, Trans.). Seoul: Philosophik. * Hinton, P. R. (2013). Returning in a different fashion: Culture, communication and changing representations of ‘Lolita’ in Japan and the West.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7, 1582–1602. * Kinsella, S. (2000). Adult manga: Culture and power in contemporary Japanese society. Curzon Press. * Lan, S., Shan, Y., & Wang, X. (2023). Loss and pursuit: A Greimas structuralist analysis of the Japanese anime "Violet Evergarden" in the feminist perspective. Communications in Humanities Research, 3, 189-196. * Mulvey, L. (1975). Visual pleasure and narrative cinema. Screen, 16(3), 6–18. * Tamaki, S. (2018). Sentou bishoujyo no seishin bunseki [전투미소녀의 정신분석: ‘싸우는 소녀’들은 어떻게 등장했나] (J. Lee & D. Choi, Trans.). Editus. (Original work published 2006) * 김유나, 정은혜. (2014). 여성주의 문화이론에 따른 애니메이션의 여성 영웅 캐릭터 비교 분석: 한미일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36, 91-119. * 김윤아. (2010). 몸 바꾸기 장르(transforming-body genre) 애니메이션 연구 -합체, 변신, 진화의 장르관습을 중심으로. 영상문화, 15, 171-204. * 김영주, 김혜진. (2013). 애니메이션으로 보는 일본: 소녀와 마녀 사이. 커뮤니케이션북스. * 김영주. (2017). 요술봉과 분홍제복. 커뮤니케이션북스. * 박동휘. (2023, 10월 19일).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일본 호시노리조트.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1019132 * 사토 후미카, 유병완. (2014). 여성과 자위대: 카무플라주하는 여성의 역할과 젠더 주류화. 일본비평, 11, 82-109. * 유운기. (2021). 소녀론을 탈식민적 맥락에서 재생산하기 위한 정초 -근대적 낭만으로서 여학생과 연애를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64, 489-515. * 이윤재. (2024). 영화 에 나타난 캐릭터 이미지 분석: 로라 멀비의 응시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4(11), 225-236. https://doi.org/10.5392/JKCA.2024.24.11.225 * 이현희. (2024). 근대 과학의 산물, 인조인간: 1945년 이전 여성 인조인간이 등장하는 일본 작품을 중심으로. 비교일본학, 60, 101-119. * 이현희, 김영주, 이지은. (2018). 로봇을 향한 열정, 일본 애니메이션: 아톰에서 에반게리온까지. 커뮤니케이션북스. * 최은혜, 오진희. (2014). 일본의 성문화를 통해 본 포르노그래피 애니메이션의 선정성. 만화애니메이션연구, 36, 281-302.

    1h 9m
  4. MAY 6

    [2025-1학기 전쟁편] 스파이 패밀리 : '어떻게'를 말하지 않는 반전 이야기

    [스포일러 주의] 이 콘텐츠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타쿠 대학원생들의 본격 애니메이션 수다, 오대수입니다 :)
 오늘은 많은 분들이 좋아하시는 작품, 스파이 패밀리를 주제로 3화 방송을 준비했어요! 떨리는 마음으로 열심히 녹음했습니다 :) 몇 가지 참고하셨으면 하는 내용이 있어요: 1. 이번 회차에서는 일본과 독일의 역사적 관계를 여러 차례 언급했는데요! 비록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이야기하긴 했지만, 그 내용을 해석하고 풀어낸 부분은 어디까지나 저희의 개인적인 시각이라는 점 참고 부탁드려요. 자칫 일반화된 주장처럼 들릴 수 있지만, 다소 주관적인 해석이 담긴 만큼 ‘뇌피셜’ 정도로 가볍게 들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방송 중 네티가 언급한 코드 기아스와 관련해서, 이 작품은 독일을 배경으로 한 것은 아니지만, 군복 디자인이나 캐릭터 이름 등에서 독일적인 요소가 일부 반영되어 있습니다. 이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 

 Althusser, L. (1971). Ideology and ideological state apparatuses. In L. Althusser (Ed.), Lenin and philosophy and other essays (pp. 127–186). Monthly Review Press. Chen, X. (2002). Occidentalism (J. Jeong et al., Trans.). Kang. (Original work published 2000) Chun, J. (2013). Welcomed by Bismark: The discovery of modern Japan and Prussia in “The Iwakura embassy, 1871–73.” Sahchong, 80, 91–121. Hwang, K. (2016). The meaning of the cooperation between Germany and Japan for the construction of little theaters in Manchuria.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of Historiography, 33, 255–281. Jang, H. (2014). The modernization of Japanese army: Concentrated on how German military ideology influences. Journal of Military History Studies, 137, 423–444. Seo, D. (2015). ‘Postwar’ and violence. Japanese Studies, 24, 273–304. Tidmarsh, L. (2024, January 25). Spy x Family's child characters are strikingly accurate to real life. CBR. https://www.cbr.com/spy-x-family-anime-child-characters-accurate-real-life/ Yim, K. (2005). The modern Japanese family: Formation of the modern nation-state and the family in Japan. Thoughts on Japanese History, 9, 123–143.

    1h 4m
  5. MAR 23

    [2025-1학기 전쟁편] 지브리 : 감성뒤에 숨겨진 고통과 책임

    [스포주의] 이 콘텐츠는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오타쿠 대학원생들의 본격 애니메이션 수다! 오대수입니다 :) 1화를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들어주셔서 감사한 마음으로 2화를 공개합니다! ;) 몇 가지 참고사항이 있어요! 1. 듣다 보시면 지브리스튜디오의 '다카하타 이사오' 감독 이름이 왔다갔다할 수 있는데... 저희도 너무 헷갈려서 그런 거니까 귀엽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모노노 아와레(物の哀れ)'는 사물의 슬픔, 비애' 정도로 직역할 수 있어요! 저희가 통용되는 개념 위주로 설명하다 보니 직역에 대한 설명이 부족했던 것 같아요 ㅠㅠ 양해 부탁드립니다! 3. 애니메이션 사이버펑크의 일부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참고문헌 Ahmed, S. (2023). The cultural politics of emotion. May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2004) Helen McCarthy. (2004). Hayao Miyazaki: Master of Japanese animation. Indi-Books. Kim, H. Y. (2016). A study on Miyazaki Hayao's "Porco Rosso". Journal of Modern Japanese Studies, 53, 171-188. Kim, J. Y. (2006). Empire of images: Animation on the Japanese archipelago. Hannarae. Nam, H. J. (2024, October 26). Memory and fantasy of the war-torn generation - Focusing on Hayao Miyazaki's "The Wind Rises" and "How Do You Live?".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Northeast Asian Cultural Society, Busan. Park, G. S. (2011). "Porco Rosso", the antinomy of rejection and play. The Journal of Language and Literature, 53, 259-287. Park, G. T. (2010). Representation of war in Japanese animation. Journal of Japanese Studies, 31, 43-63. Park, S. Y. (2017). Rereading Ghibli's film "The Wind Rises". The Korean Journal of Japanology, 111, 235-263. Park, S. Y. (2024). The era of war, and living on - Focusing on the animations "The Wind Rises" and "How Do You Live?". Cross-Cultural Studies, 73, 31-54. Lee, J. H. (2020). The expressive structure of Japanese nationalism in popular culture - Reconsidering Hayao Miyazaki's "The Wind Rises". Japanese Thought, 39, 254-286. The Penn Movie Goer. (n.d.). The Wind Rises: We must try to live. https://www.thepennmoviegoer.com/movie-review/the-wind-rises-we-must-try-to-live YouTube. (n.d.). [Video]. YouTube. https://youtu.be/p0CR1BVjA9w?si=uIIfhbP1DfTekdOD

    1h 19m
  6. MAR 3

    [2025-1학기 전쟁편] 진격의거인 : 심장을 바치라뇨? 뒤섞인 은유, 끔찍한 엔딩

    [스포주의] 이 콘텐츠는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오타쿠 대학원생들의 본격 애니메이션 수다! 오대수입니다:) 드디어 1화를 공개하게 되었어요! 저희가 가벼운 내용을 다루진 않지만, 들으시는 분들은 '이렇게 생각할 수 있구나~'하고 재밌게 들어주셨으면 해요! 감사합니다! 참고문헌 Brinkhof, T. (2023, June 14). A show that pits Japan against the world brings a dark past to life. New Lines Magazine. ⁠https://newlinesmag.com/review/a-show-that-pits-japan-against-the-world-brings-a-dark-past-to-life/⁠ Digital Today. (n.d.). 진격의 거인, 왜 인기일까? [Why is Attack on Titan popular?].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0556⁠ Komori, Y., & Takahashi, T. (2000). 내셔널 히스토리를 넘어서 [Beyond national history]. Samin. Mirage News. (2023, May 18). The power of names: How names influence our lives. ⁠https://www.miragenews.com/the-power-of-names-how-names-influence-our-1040333/⁠ Nate News. (2013, October 16). 日 애니 '진격의 거인' 인기 비결은? [What's the secret to the popularity of Japanese anime 'Attack on Titan'?]. ⁠https://news.nate.com/view/20131016n31700⁠ Park, H. (2019). 애니메이션 〈진격의 거인〉의 인기 요인과 일본문화콘텐츠로서의 함의 연구 [A study on the popularity factors of the animation 'Attack on Titan' and its implications as Japanese cultural content]. 일본문화연구 [Japanese Culture Studies], 72, 55-71. ⁠https://doi.org/10.18075/jcs..72.201910.055⁠ Park, N. (2021). 아니메 (アニメ) 와 일본 소년 (상) 의 기로 (岐路) [Anime and the crossroads of Japanese boys (Part 1)]. 한국학연구 [Korean Studies], 60, 215-240. ScreenRant. (n.d.). Attack on Titan: 10 main character names explained. ⁠https://screenrant.com/attack-on-titan-10-main-character-names-explained/1000/⁠

    1h 16m

About

애니메이션 심층해부! 덕후 대학원생들의 쓸데없이 진심인 학술적 발광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