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일러 주의] 이 콘텐츠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타쿠 대학원생들의 본격 애니메이션 수다, 오대수입니다 :) 오늘은 많은 분들이 사랑하는 작품, 을 주제로 4화 방송을 준비했어요. 드디어 1학기가 끝났네요! 떨리는 마음으로 첫 방송을 시작한 게 엊그제 같은데, 어느새 1학기를 마무리하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많은 분들이 방송을 들어주시고 응원해 주셔서, 늘 감사한 마음으로 한 회 한 회 녹음하고 있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곧 방학 특집으로 다시 찾아올 예정이니, 그때도 꼭 함께해 주세요 :) 우리 또 만나요! 몇 가지 참고하셨으면 하는 내용이 있어요: 1.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과 관련해 언급한 부분인데요, 해당 개정안은 아동성착취물의 범위를 그림, 만화, 사진, 화보 등으로까지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습니다. 이 법안이 발의되면서 아동성착취물에 대한 논의가 다시 불거졌고, 이후에는 철회된 상태입니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만화, 애니메이션, CG 등은 아동 음란물의 범주에서 제외된다고 합니다.(출처: 안상우. (2025년 4월 22일). [취재파일] 우리만 '아동 성착취물 만화' 처벌한다고? [사실은 A/S]. SBS.) 2. 뉴진스 관련 논란에 대해 녹음 중 기억이 정확하지 않아 설명이 다소 모호했던 점을 바로잡고자 합니다. 뉴진스와 배틀그라운드(PUBG)의 콜라보레이션에서, 멤버들의 게임 내 캐릭터에 수영복 등 노출이 많은 의상이 적용되었고, 이를 캡처해 온라인에 공유하는 사례가 발생하면서 성적 대상화 및 성희롱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이에 대해 게임사 크래프톤과 뉴진스 소속사 어도어는 공식 입장을 발표하며, 해당 행위가 브랜드 이미지와 가치에 부합하지 않으며, 모든 팬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행동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논란에 따라 부적절한 아이템 조합 제한, 유저 제재, 환불 및 보상 조치 등 여러 대응이 이루어졌습니다.(출처: 박로사. (2024년 6월 20일). 뉴진스, 게임서 성희롱 피해 “상황 심각, 적극 대응할 것” [전문]. 스타투데이) * Butler, J. (2018). Precarious life (J. Yoon, Trans.). Seoul: Philosophik. * Hinton, P. R. (2013). Returning in a different fashion: Culture, communication and changing representations of ‘Lolita’ in Japan and the West.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7, 1582–1602. * Kinsella, S. (2000). Adult manga: Culture and power in contemporary Japanese society. Curzon Press. * Lan, S., Shan, Y., & Wang, X. (2023). Loss and pursuit: A Greimas structuralist analysis of the Japanese anime "Violet Evergarden" in the feminist perspective. Communications in Humanities Research, 3, 189-196. * Mulvey, L. (1975). Visual pleasure and narrative cinema. Screen, 16(3), 6–18. * Tamaki, S. (2018). Sentou bishoujyo no seishin bunseki [전투미소녀의 정신분석: ‘싸우는 소녀’들은 어떻게 등장했나] (J. Lee & D. Choi, Trans.). Editus. (Original work published 2006) * 김유나, 정은혜. (2014). 여성주의 문화이론에 따른 애니메이션의 여성 영웅 캐릭터 비교 분석: 한미일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36, 91-119. * 김윤아. (2010). 몸 바꾸기 장르(transforming-body genre) 애니메이션 연구 -합체, 변신, 진화의 장르관습을 중심으로. 영상문화, 15, 171-204. * 김영주, 김혜진. (2013). 애니메이션으로 보는 일본: 소녀와 마녀 사이. 커뮤니케이션북스. * 김영주. (2017). 요술봉과 분홍제복. 커뮤니케이션북스. * 박동휘. (2023, 10월 19일).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일본 호시노리조트.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1019132 * 사토 후미카, 유병완. (2014). 여성과 자위대: 카무플라주하는 여성의 역할과 젠더 주류화. 일본비평, 11, 82-109. * 유운기. (2021). 소녀론을 탈식민적 맥락에서 재생산하기 위한 정초 -근대적 낭만으로서 여학생과 연애를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64, 489-515. * 이윤재. (2024). 영화 에 나타난 캐릭터 이미지 분석: 로라 멀비의 응시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4(11), 225-236. https://doi.org/10.5392/JKCA.2024.24.11.225 * 이현희. (2024). 근대 과학의 산물, 인조인간: 1945년 이전 여성 인조인간이 등장하는 일본 작품을 중심으로. 비교일본학, 60, 101-119. * 이현희, 김영주, 이지은. (2018). 로봇을 향한 열정, 일본 애니메이션: 아톰에서 에반게리온까지. 커뮤니케이션북스. * 최은혜, 오진희. (2014). 일본의 성문화를 통해 본 포르노그래피 애니메이션의 선정성. 만화애니메이션연구, 36, 281-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