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episodes

서울 한 구석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한국어 강사 조이입니다. 한국어 교육에 관심이 많아서 공부를 많이 하긴 했는데, 어디라도 나누는 게 낫지 않을까 해서 시작한 팟캐스트입니다. 한국어 강의나 협업 문의는 contact@daldalkorean.com으로 부탁 드립니다.

조이네 한국어잡‪학‬ Joy Do

    • Education

서울 한 구석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한국어 강사 조이입니다. 한국어 교육에 관심이 많아서 공부를 많이 하긴 했는데, 어디라도 나누는 게 낫지 않을까 해서 시작한 팟캐스트입니다. 한국어 강의나 협업 문의는 contact@daldalkorean.com으로 부탁 드립니다.

    [사전학] 표제어의 품사 정보 기술

    [사전학] 표제어의 품사 정보 기술

    안녕하셔요. 사전학 공부를 같이 하고 싶어서 사전의 거시구조와 미시구조를 개괄한 것에서 시작해서, 표제어가 무엇인지, 또 표제어와 관련된 여러 가지 정보를 어떻게 구성하고 제시할 것인지를 하나씩 훑어 나가고 있습니다. 제가 이번 학기에는 학교에서 학습자 사전 연구를 청강하고 있는데,  제가 듣는 강의에서는 사전학의 기본적인 개념이나 쟁점들은 전혀 훑지 않고 바로 논문을 발제하면서 토론으로 넘어가거든요. 그래서 좀 개인적으로라도 기본적인 이론을 훑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사전학을 석사 입학하자마자 때 듣긴 했는데, 그때는 대학원에 한창 적응 중이던 시절이라 뭘 공부해야 하고, 또 어떻게 혼자 공부해야 하는지도 갈피를 못 잡고 있을 때였어요. 논문 한 편 읽고 해석하는 것도 끙끙대면서 했던 시절이라 주어진 걸 겨우겨우 따라갔지 주도적으로 공부를 하지 못해서 지금까지 그때 공부했던 게 남아 있지가 않아요. ㅎㅎ 결국엔 다시 공부를 하게 되었고요.

    혹시라도 ㅎㅎ 대학원에 갓 진학하셨거나, 논문 읽는 게 어렵거나 하신 분이 계시다면 너무 겁먹지 마시고 지금하고 계신 그대로 전혀 문제가 없으니 힘을 내시기 바랍니다. 그때 저는 제가 어리석어서 이렇게 한 편 한 편이 어려운 걸까 싶었는데, 지나고 보니 그냥 다들 거치는 과정이더라고요. 어려워도 힘들어도 꾸역꾸역 읽고 쓰고 하다 보니까 지금은 다행히 예전보다 논문 읽는 속도나 논문을 고르는 감도 좋아져서, 저같이 공부에 소질이 없었던 사람도 하는데 여러분들은 당연히 저보다 나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자, 이제 본론으로 들어갑시다. 오늘은 표제어의 품사 정보 기술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팟캐스트 내용을 읽으시려면 다음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https://nurimal.tistory.com/50

    • 17 min
    [사전학] 표제어의 발음 정보 기술

    [사전학] 표제어의 발음 정보 기술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의 '표제어'에 이어서 이번에는 이 '표제어'라는 것에 대해 조금 더 자세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이번 시간의 주제는 표제어의 '발음 정보' 표기인데, 언뜻 '한국 사람이 보는 국어사전에 발음을 표기한다니?'라는 의문이 들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편으로는 '서로 말만 통하면 되지, 발음까지 표준 발음을 정해 줄 필요가 있느냐' 할 수도 있겠지만, 제가 배운 바로는 언어가 통일을 이루지 못하면 결국 각기 다른 언어를 쓰는 언중들 간의 분열이 생기기 때문에 언어 통일의 의의가 여기에 있다고 합니다. 발음 표기도 언어의 통일성이라는 목표 아래에 있고요.

    적확한 예시는 아니겠지만, 일례로 우리나라에서는 '맥도날드[맥또날드]'라고 쓰고 읽는 것을 일본에서는 지역에 따라 マック와 マクド로 줄여 쓴다고 하는데 서로가 쓰는 줄임말에 대해서 뭔가 느끼하다거나 이상하다고 생각한다고 하는 걸 어디서 들은 적이 있습니다. 그러고 보니 이질적인 것이 마냥 나쁜 것은 분명히 아니겠지만, 같은 나라 사람끼리도 말에서 서로 다른 것이 너무 많다면 확실히 섞이고 화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 같습니다.

    팟캐스트 내용은 글로도 읽으실 수 있답니다. 다음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https://nurimal.tistory.com/49

    • 17 min
    [사전학] 표제어란?

    [사전학] 표제어란?

    안녕하세요. 잘들 지내시죠?

    사전학은 한국어학에 관심 있는 분들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지식은 아닐 수도 있지만, 충분히 영양가 있는 지식이고, 또 알고 나면 사전을 편찬하시는 분들의 노고를 알 수 있음과 동시에 또 언어의 의미를 기술한다는 측면을 면밀히 고찰해 보는 기회를 주는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앞서 사전의 거시구조와 미시구조를 훑었죠. 이번에는 표제어(headword)만 파 보겠습니다.



    팟캐스트 내용을 읽으시려면 다음 링크를 따라가 주세요: https://nurimal.tistory.com/48

    • 12 min
    [사전학] 사전의 거시구조와 미시구조

    [사전학] 사전의 거시구조와 미시구조

    제가 대학원에 입학했을 때 들었던 인상 깊은 강의 중의 하나가 사전학인데요. 입학 전에는 전혀 접해 볼 기회도, 또 접해 볼 생각도 못해 본 학문 중 하나였기도 했고, 또 막상 겪어 보니 흥미롭기도 했기 때문이에요. 두 번째로 인상 깊었고, 또 미쳐서 들었던 강의는 중세 한국어였는데요. 우연히 발을 담궜던 게 너무 재밌어서 낡아 빠진 고어 사전까지 비싸게 사 가면서 공부했던 기록이 있답니다. 

    제가 요즘 틈이 날 때마다 팟캐스트를 열심히 녹음해서 올리잖아요. 관련해서 특별히 철칙은 없지만, '한국어와 관련된 전문 지식을 다루되 제가 좋아하는 것부터 다루자'였어요. 어쩌다 보니 제가 최근에 자주 보는 문법교육 관련이나 사전학 자료를 정리해서 올리고는 있는데, 나중에라도 저처럼 필요하신 분들이 있지 않을까 생각하니 꾸준히 하게 되더라고요. 워낙 내용들이 한 번에 잘 잡히지 않는 내용이라서 저도 녹음해 놓고 필요할 때마다 들으면서 연구에 참고하고 있습니다. 연구든 뭐든 기본을 탄탄히 다지는 게 정말 중요하잖아요.

    아무튼 지금은 저도 공부할 겸해서 정리한 내용을 녹음해서 올리고 있지만, 나중에 조금이라도 지금 하고 있는 공부가 마무리되면 좀 더 대중적이고 흥미로운 주제들을 다루는 것으로 하고, 당분간은 이렇게 다소 재미없을 수도 있는 주제들로 제 고집을 밀고 나가겠습니다. 



    팟캐스트 내용을 텍스트로 읽으시려면 다음 링크를 따라가 주세요.

    https://nurimal.tistory.com/47https://nurimal.tistory.com/47

    • 10 min
    [문법교육] 의식 고양(Consciousness-Raising): 형태 초점 접근법

    [문법교육] 의식 고양(Consciousness-Raising): 형태 초점 접근법

    이번에는 그 유명한 '의식 고양(Consciousness-Raising)'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지금까지 '입력 강화(input enhancement)', '입력 홍수(input flood)', 그리고 '텍스트 강화(Textual enhancement)'를 다루었는데, 제가 분류하기를 형태 초점 교수와 연계해서 정리하긴 했지만, 앞서 언급한 교수 기법들을 무조건적으로 형태 초점 교수의 하위 부류화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우선 '형태 초점 교수'라는 것의 등장 배경을 아셔야 하겠죠. 기존에 제시된 언어 교수법들, 그러니까 형태 중심이든 의미 중심이든 단일한 언어교수법으로는 L2를 유창하게 구사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게 된 학자들이 언어를 의미 중심으로 가르쳐야 한다는 것에는 동의하면서도 형태도 중요하다는 입장이 반영된 것이 바로 '형태 초점'인 것 아시죠. (후~ 한 번에 읽기에 너무 힘들쥬 ^ㅠ^)

    그리고 형태 초점이라 해도 형태를 중심으로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의미가 중심이 되되 형태는 넌지시 습득하도록, 다시 말하면 명시적으로 '이 문법은 이거다'하고 가르치는 게 아니므로 그 '넌지시' 제시하는 방식도 여러 가지가 있겠죠. 그래서 제2 언어 교수법 중에서도 이해 가능한 입력에 초점을 둔 '입력 강화'의 여러 기법들을 우리가 알고 있는 형태 초점 교수법에 적용한 것입니다. 학습자들이 이걸 습득했는지 아닌지 확인할 방법에는 한계가 있지만, 우선 입력하는 자료 혹은 정보에 있어서 교사의 재량껏 결정하고 통제할 수 있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입력 강화의 여러 기법들이 형태 초점 교수와 매우 자주 연계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아무튼 입력 강화는 문법뿐만 아니라 어휘나 발음 등을 가르칠 때에도 충분히 여러 가지 기법을 콜라보해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제가 단순화의 오류를 무릅쓰고 부제를 저리 정하긴 하였지만, 반드시 핵심적인 내용이 무엇인지는 잘 잡고 지나가셔야 한다는 것을 알려 드리면서, 이번의 주제인 '의식 고양'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팟캐스트 내용을 읽으시려면 다음 링크를 따라가 주세요.

    https://nurimal.tistory.com/46

    • 11 min
    [문법교육] 텍스트 강화(Textual Enhancement): 형태 초점 교수 기법

    [문법교육] 텍스트 강화(Textual Enhancement): 형태 초점 교수 기법

    안녕하세요. ㅎ_ㅎ 강사 조이입니다.

    지난 시간에 형태 초점 교수의 개략을 하고 '입력 강화'와 '입력 홍수'를 차례대로 훑었죠. 용어의 혼란이 계속될 텐데, 이런 혼란은 특정 개념이 어디에 포함되고 무엇을 포함하는지를 갈래 지으려고 할 때 생기는 혼란인 것 같아요. 그러니 큰 그림을 먼저 그린 후에 필요한 개념만 취하시면서 더 파고들면 어떤가 합니다. 

    팟캐스트 내용을 읽고자 하시면 다음 링크를 따라 가시면 됩니다: https://nurimal.tistory.com/41

    • 9 min

Top Podcasts In Education

The Mel Robbins Podcast
Mel Robbins
The Jordan B. Peterson Podcast
Dr. Jordan B. Peterson
Mick Unplugged
Mick Hunt
The Rich Roll Podcast
Rich Roll
Digital Social Hour
Sean Kelly
The Daily Stoic
Daily Stoic | Wond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