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의 모든 것

Unknown

장애 감수성을 기르는 본격 문학방송 ‘A(able)의 모든 것’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이 운영하는 장애 예술 전문 지식 플랫폼 이음온라인 콘텐츠의 일환으로 트루베르크리에이티브와 프로젝트 궁리가 공동기획·제작하고 있는 팟캐스트 방송입니다. www.ieum.or.kr

  1. 2 HR AGO

    [A의 모든 것 시즌6] 제2회 우는 나와 우는 우는 2부_하은빈 작가

    장애 감수성을 기르는 본격 문학방송 'A(able)의 모든 것 시즌6' 제2회 우는 나와 우는 우는 2부_하은빈 작가 불구의 몸, 상한 마음, 잘못한 사람에 관심을 두는, 가까운 이들의 어수선한 사랑과 돌연한 용기에 기대어 여기까지 왔다고 하는 하은빈 작가님과 함께했습니다. 장애와 사랑, 실패와 후회의 관한 끝말잇기 함께 들어보실래요? -- 세상이 우를 가지고 인질극을 하는 것 같았다. 장애인 애인을 가지고 싶으면 장애인 애인 말고 다른 건 가져서는 안 된다고 말하는 것 같았다. 나는 장애인 애인을 가졌으면서 다른 것도 가지고 싶었다. 욕심이었을까?_하은빈, 『우는 나와 우는 우는』, 동녘, 2025, 29쪽. -- [프로그램 소개] ▲ A의 특별한 만남, A를 소개합니다 *이끼 하은빈 작가는 글을 쓰고 공연을 하고요. 일라이 클레어의 『눈부시게 불완전한』을 우리말로 옮겼습니다. 에세이집 『우는 나와 우는 우는』을 펴냈습니다. ▲A의 사사로운 문학 생활 Q: 사랑하는 작가가 있다면? A: 황정은 작가이다. 학창시절, 이동수업을 하려고 나왔는데 교실에 불이 났다. 일 년 동안 쓴 일기장은 책상에 놔둬서 타버렸는데 황정은 작가의 첫 단편소설 『일곱시 삼십이분 코끼리열차』만 유일하게 들고 나온 소지품이어서 살아 남았다. 그때 왠지 내가 쓴 모든 것보다 황 작가의 글이 더 중요한 게 아닐까 생각했다. Q: 인생 책 한 권은? A: 홍한별 번역가의 책 『흰 고래의 흼에 대하여』이다. 진행 김효진 동화작가(호호), 고정게스트 노지영 평론가(노평), 연출 윤석정 시인, 구성작가 최지인 시인이 함께했습니다. #이음온라인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팟캐스트 #A의모든것 #A의모든것시즌6 #하은빈 #우는나와우는우는 #일라이클레어 #눈부시게불완전한 #김효진 #노지영 #윤석정 #최지인 #프로젝트궁리 #트루베르크리에이티브 #장문원 #문학

    48 min
  2. 9 SEPT

    [A의 모든 것 시즌6] 제2회 우는 나와 우는 우는 1부_하은빈 작가

    장애 감수성을 기르는 본격 문학방송 'A(able)의 모든 것 시즌6' 제2회 우는 나와 우는 우는 1부_하은빈 작가 불구의 몸, 상한 마음, 잘못한 사람에 관심을 두는, 가까운 이들의 어수선한 사랑과 돌연한 용기에 기대어 여기까지 왔다고 하는 하은빈 작가님과 함께했습니다. 장애와 사랑, 실패와 후회의 관한 끝말잇기 함께 들어보실래요? -- 세상이 우를 가지고 인질극을 하는 것 같았다. 장애인 애인을 가지고 싶으면 장애인 애인 말고 다른 건 가져서는 안 된다고 말하는 것 같았다. 나는 장애인 애인을 가졌으면서 다른 것도 가지고 싶었다. 욕심이었을까?_하은빈, 『우는 나와 우는 우는』, 동녘, 2025, 29쪽. -- [프로그램 소개] ▲ A의 낭독극장 - ‘A가 읽어드립니다.’는 A의 모든 것에 초대된 작가의 목소리로 작품을 읽어드립니다. - 작가 낭독: 『우는 나와 우는 우는』, 동녘, 2025, 43~47쪽. "나는 그의 수술 이야기를 떠올릴 때마다 우의 등을 세로로 쪼개는 길고 울퉁불퉁한 흉터를 선하게 볼 수 있다. 그것은 누가 잘못 그려넣은 철길 그림 같다. 아니면 긴 가시나무 가지 같다. 그것도 아니면 아주아주 오래 살았던 커다랗고 다리 많은 지네의 화석 같다. 그것도 아니면 그 무엇도 아닌 것 같다. 수술 흉터는 그냥 수술 흉터다. 철길이라느니 가시나무라느니 하는 비유는 상처를 설명하기에 충분치 않아서 얼마 지나지 않아 떨어져 나가버리고, 남은 것은 오로지 등 전체를 가르고 있는 길고 또렷한 흉터. 나는 우의 등에 남은 그 흉터에 관해, 아주 옛날에 차갑고 날선 칼을 집어넣어 살을 길게 갈라 생긴 상처이며, 그 상처가 불완전하게 아문 자리라고밖에는 말할 수가 없다." ▲ A의 특별한 손님 -하은빈 작가 *글을 쓰고 공연을 하고 일라이 클레어의 『눈부시게 불완전한』을 우리말로 옮겼습니다. 에세이집 『우는 나와 우는 우는』을 펴냈습니다. 진행 김효진 동화작가(호호), 고정게스트 노지영 평론가(노평), 연출 윤석정 시인, 구성작가 최지인 시인이 함께했습니다. #이음온라인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팟캐스트 #A의모든것 #A의모든것시즌6 #하은빈 #우는나와우는우는 #김효진 #노지영 #윤석정 #최지인 #프로젝트궁리 #트루베르크리에이티브 #장문원 #문학

    36 min
  3. 19 AUG

    [A의 모든 것 시즌6] 제1회 내 마음 여기에… 2부_설미희 시인

    장애 감수성을 기르는 본격 문학방송 'A(able)의 모든 것 시즌6' 제1회 내 마음 여기에… 2부_설미희 시인 고독도 친구, 장애도 친구! 그래서 외롭지 않고 웃는 얼굴이 평화로운 설미희 시인과 함께했습니다. 장애와 문학 이야기, 삶 이야기를 함께 들어보실래요? -- 불나방처럼 뜨거워진 가슴 삭히러/어둠 등에 지고 밤바다에 간다//일렁이는 하얀 물거품/낮 동안 오염된 상념들의/토악질인가//얇디 얇은 실루엣 걸친/한(恨) 많은 여인네의/울음소리인가//밤바다의 파도는 안다고/계속 철석거린다//코에 닿는 비리한 시린 마음을_설미희, 『내 마음 여기에…』, 「여름 밤바다」, 연인M&B, 2024, 55쪽. -- [프로그램 소개] ▲ A의 특별한 만남, A를 소개합니다 *파파 캔디 설미희 시인은 2009년 대한민국장애인문학상 대상을 받으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시집 『내 마음 여기에…』, 산문집 『시인이라는 이름이 아름다운 설미희』 등을 펴냈습니다. 2022년 구상솟대문학상을 받았으며 집필 활동 및 여러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A의 사사로운 문학 생활 Q: 인생 책 한 권은? A: 故박경리 선생님의 『토지』이다. 대한민국 장애인 문학상 도전하기 전 『토지』를 필사를 했다. 여류 작가로 가정사와 특히 역사 소설을 썼다는 것은 우리나라의 자랑인 것 같다. 진행 김효진 동화작가(호호), 고정게스트 노지영 평론가(노평), 연출 윤석정 시인, 구성작가 최지인 시인이 함께했습니다. #이음온라인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팟캐스트 #A의모든것 #A의모든것시즌6 #설미희 #내마음여기에 #시인이라는이름이아름다운설미희 #김효진 #노지영 #윤석정 #최지인 #프로젝트궁리 #트루베르크리에이티브 #장문원 #문학

    35 min
  4. 12 AUG

    [A의 모든 것 시즌6] 제1회 내 마음 여기에… 1부_설미희 시인

    장애 감수성을 기르는 본격 문학방송 'A(able)의 모든 것 시즌6' 제1회 내 마음 여기에… 1부_설미희 시인 고독도 친구, 장애도 친구! 그래서 외롭지 않고 웃는 얼굴이 평화로운 설미희 시인과 함께했습니다. 장애와 문학 이야기, 삶 이야기를 함께 들어보실래요? -- 눈물이/날 때가 있어//사람들 속에서/웃으며 웃을수록/가슴에 애잔함이 차고//겹겹이 덧바른/얼굴 아닌 얼굴/상처가 깊어진/슬픔을 감추는 거겠지//산다는 것은/슬픔에서 흘러나오는/웃음인 거야_설미희, 『내 마음 여기에…』, 「웃는 삐에로」, 연인M&B, 2024, 83쪽. -- [프로그램 소개] ▲ A의 낭독극장 - ‘A가 읽어드립니다.’는 A의 모든 것에 초대된 작가의 목소리로 작품을 읽어드립니다. - 낭독 작품(시): 「웃는 삐에로」, 「친밀한 타인」, 「거북이」, 「선물 같은 사람아」, 「노을」, 「들꽃」, 「어느 하루」 ▲ A의 특별한 손님 -설미희 시인 *파파 캔디 설미희 시인은2009년 대한민국장애인문학상 대상을 받으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고요. 2022년에는 구상솟대문학상을 받았습니다. 시집 『내 마음 여기에…』, 산문집 『시인이라는 이름이 아름다운 설미희』 등을 펴냈습니다. 대한민국 장애인 문학상(장애인 일자리 사업 체험 공모전) 심사위원 등 여러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진행 김효진 동화작가(호호), 고정게스트 노지영 평론가(노평), 연출 윤석정 시인, 구성작가 최지인 시인이 함께했습니다. #이음온라인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팟캐스트 #A의모든것 #A의모든것시즌6 #설미희 #내마음여기에 #김효진 #노지영 #윤석정 #최지인 #프로젝트궁리 #트루베르크리에이티브 #장문원 #문학

    21 min
  5. 17/12/2024

    [A의 모든 것 시즌5] 제6회 누구를 위해 특수교육은 존재하는가 2부_윤상원 작가

    장애 감수성을 기르는 본격 문학방송 'A(able)의 모든 것 시즌5' 제6회 누구를 위해 특수교육은 존재하는가 2부_윤상원 작가 장애라 명명(labeled)된 학생, 장애화하는(disabling) 사회라는 표현으로 세상을 올바르게 명명하는 특수교사 윤상원 작가와 함께했습니다. 교육현장에서 특수교사의 이야기, 학생 이야기, 삶 이야기를 함께 들어보실래요? -- 그렇다고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특수 교사 개인은 그런 학교 사회를 전복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삐걱거리게 만들 수는 있다. 바로 자신에게 주어진 문지기로서 규범을 부정하는 일이다. 그렇게 부정을 부정함으로써 특수 교사 개인의 노동은 물론이고 장애라 명명된 학생들도 긍정될 수 있는 것은 아닐까?_윤상원, 『누구를 위해 특수교육은 존재하는가』, 교육공동체벗, 2023, 69쪽. -- [프로그램 소개] ▲ 극장A *『누구를 위해 특수교육은 존재하는가』, 74~75쪽, 5쪽. "‘장애 학생’이라는 표현을 고수할 경우 ‘할 수 없는’ 학생 개인에 방점을 두어 개인이 할 수 없기 때문에 분리한다는 논리를 정당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즉, 특정 손상을 지닌 학생 개인을 할 수 없도록 만드는 학교 환경을 전제할 때만이 장애라는 명명은 성립할 수 있으며, 그 명명이 그 학생에게 부여된 결과 분리와 배제가 이루어졌음을 잊지 않기 위해 ‘장애라 명명된 학생’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 ▲ A의 책방 - ‘A의 책방’은 A의 모든 것 구성작가 최지인 시인이 책 한 권을 소개합니다. - 책 한 권 : 김효진, 『오늘도 차별, 그래도 삶』(이후, 2024) - 한 구절 : "장애 말고 사람을 보라. 원하든 원치 않든 장애인과 비장애인은 서로의 삶의 조건이며 서로 연결되어 있다." 진행 김효진 동화작가(호호), 고정게스트 노지영 평론가(노평), 연출 윤석정 시인, 구성작가 최지인 시인이 함께했습니다. #이음온라인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팟캐스트 #A의모든것 #A의모든것시즌5 #윤상원 #누구를위해특수교육은존재하는가 #오늘도차별,그래도삶 #김효진 #노지영 #윤석정 #최지인 #프로젝트궁리 #트루베르크리에이티브 #장문원 #문학

    50 min
  6. 10/12/2024

    [A의 모든 것 시즌5] 제6회 누구를 위해 특수교육은 존재하는가 1부_윤상원 작가

    장애 감수성을 기르는 본격 문학방송 'A(able)의 모든 것 시즌5' 제6회 누구를 위해 특수교육은 존재하는가 1부_윤상원 작가 장애라 명명(labeled)된 학생, 장애화하는(disabling) 사회라는 표현으로 세상을 올바르게 명명하는 특수교사 윤상원 작가와 함께했습니다. 교육현장에서 특수교사의 이야기, 학생 이야기, 삶 이야기를 함께 들어보실래요? -- 삶의 궤적을 따라 장애에 대한 나의 시선은 변화해 왔다. 유년기, 온갖 놀림과 차별 속에서 장애는 나 개인의 문제였다. 그래서 자책과 열등감으로 얼룩져 있었다. 장애에 대한 나의 시선에 변곡점이 되었던 대학 시절, 장애라 명명된 학우들과의 만남은 장애가 나의 문제가 아니라 ‘장애화하는 사회’의 문제임을 깨우쳐 주었다. 그 앎을 통해 생애 처음으로 해방감을 만끽할 수 있었다._윤상원, 『누구를 위해 특수교육은 존재하는가』, 교육공동체벗, 2023, 28쪽. -- [프로그램 소개] ▲ A의 모든 세상 - ‘A의 모든 세상’은 장애 이슈를 들려드립니다. 이번 주제는 '지하철 무임승차 제도’입니다. ▲ A의 특별한 손님 -윤상원 작가 *손상 윤상원 작가는 대한민국의, 시각장애라 명명된 ‘특수’ 교사입니다. 노르웨이 오슬로대학교 특별요구교육 전공으로 석·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지은 책으로 『누구를 위해 특수교육은 존재하는가』 등이 있습니다. 진행 김효진 동화작가(호호), 고정게스트 노지영 평론가(노평), 연출 윤석정 시인, 구성작가 최지인 시인이 함께했습니다. #이음온라인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팟캐스트 #A의모든것 #A의모든것시즌5 #윤상원 #누구를위해특수교육은존재하는가 #김효진 #노지영 #윤석정 #최지인 #프로젝트궁리 #트루베르크리에이티브 #장문원 #문학

    43 min
  7. 19/11/2024

    [A의 모든 것 시즌5] 제5회 하나도 못 맞히는 점집 2부_이선영 작가

    장애 감수성을 기르는 본격 문학방송 'A(able)의 모든 것 시즌5' 제5회 하나도 못 맞히는 점집 2부_이선영 작가 마지막 순간까지 현역 작가이고 싶은 이선영 작가와 함께했습니다. 장애문학인으로서 창작활동 이야기, 삶 이야기를 함께 들어보실래요? -- 울 엄마가 그러는데 고기도 씹어야 맛을 아는 거처럼 인생도 희극인지 비극인지 살아봐야지 아는 거라고 하시더라. 그러니 별수 없잖아, 각자 주어진 인생을 살아내는 수밖에._이선영, 『하나도 못 맞히는 점집』, 클레이하우스, 2024, 177쪽. -- [프로그램 소개] ▲ 극장A *『하나도 못 맞히는 점집』, 257~259쪽. "부유한 부모를 둔 장애인은 누구한테도 비잉신이나 찐따로 불리지 않았다. 오히려 비장애인 또래에게 추앙받거나 그들 위에 군림하는 존재였다. 그동안 영광이 숱하게 괴롭힘을 당해왔던 건 장애 때문이 아니었다. 가난한 부모를 둔 탓이었다." ▲ A의 책방 - ‘A의 책방’은 A의 모든 것 구성작가 최지인 시인이 책 한 권을 소개합니다. - 책 한 권 : 황승택, 『다시 말해줄래요?』(민음사, 2022) - 한 구절 : "한국 사회에서 특히 더딘 소수자와 장애인의 삶을 바꾸는 제도는 역시 낙관적 기대로는 이뤄지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저상버스와 지하철 엘리베이터 역시 장애인 운동단체들이 쇠사슬을 두르고 도로와 버스를 점거하고 지하철 선로에 몸을 던진 덕분에 그나마 도입 시기가 빨라졌다." 진행 김효진 동화작가(호호), 고정게스트 노지영 평론가(노평), 연출 윤석정 시인, 구성작가 최지인 시인이 함께했습니다. #이음온라인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팟캐스트 #A의모든것 #A의모든것시즌5 #이선영 #하나도못맞히는점집 #황승택 #다시말해줄래요? #김효진 #노지영 #윤석정 #최지인 #프로젝트궁리 #트루베르크리에이티브 #장문원 #문학

    45 min
  8. 12/11/2024

    [A의 모든 것 시즌5] 제5회 하나도 못 맞히는 점집 1부_이선영 작가

    장애 감수성을 기르는 본격 문학방송 'A(able)의 모든 것 시즌5' 제5회 하나도 못 맞히는 점집 1부_이선영 작가 마지막 순간까지 현역 작가이고 싶은 이선영 작가와 함께했습니다. 장애문학인으로서 창작활동 이야기, 삶 이야기를 함께 들어보실래요? -- 삶이 어디 힘겹기만 하겠는가. 삶이 어디 슬프기만 하겠는가. 삶이 어디 고단하기만 하겠는가. 힘겹고, 슬프고, 고단한 가운데서도 작은 행복에 미소 짓는 게 인생이라 믿는다. 삶이라는 험난한 산을 오르기 위해 내딛는 한걸음이 발판이 되듯. 깨진 항아리 틈새로 희미하게 스며드는 빛 한줄기가 소중하듯._이선영, 『하나도 못 맞히는 점집』, 클레이하우스, 2024, 302쪽. -- [프로그램 소개] ▲ A의 모든 세상 - ‘A의 모든 세상’은 장애 이슈를 들려드립니다. 이번 주제는 '활동 지원 제도 부정 수급 문제’입니다. ▲ A의 특별한 손님 -이선영 작가 *젊은 태양 이선영 작가는 서울에서 태어나 한양여대 문예창작과를 졸업하고 단국대 대학원 문예창작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천 년의 침묵』으로 ‘대한민국뉴웨이브문학상’을 받았고 지은 책으로 『보테로 가족의 사랑 약국』, 『지문』, 『못찾겠다 꾀꼬리』, 『신의 마지막 아이』, 『그 남자의 소설』 등이 있습니다. 진행 김효진 동화작가(호호), 고정게스트 노지영 평론가(노평), 연출 윤석정 시인, 구성작가 최지인 시인이 함께했습니다. #이음온라인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팟캐스트 #A의모든것 #A의모든것시즌5 #이선영 #하나도못맞히는점집 #김효진 #노지영 #윤석정 #최지인 #프로젝트궁리 #트루베르크리에이티브 #장문원 #문학

    45 min

Ratings & Reviews

5
out of 5
9 Ratings

About

장애 감수성을 기르는 본격 문학방송 ‘A(able)의 모든 것’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이 운영하는 장애 예술 전문 지식 플랫폼 이음온라인 콘텐츠의 일환으로 트루베르크리에이티브와 프로젝트 궁리가 공동기획·제작하고 있는 팟캐스트 방송입니다. www.ieum.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