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트비트 🧠 마인드캐스트 - AI 인공지능 × 뇌과학 한입 지식

토큰을 넘어 개념으로: AI 사고의 새로운 지평 - Large Concept Models: Language Modeling in a Sentence Representation Space

인공지능 분야는 혁신적인 전환점에 서 있습니다. GPT-4와 같은 기존 대규모 언어 모델(LLM)이 토큰 단위로 정보를 처리하는 반면, 인간은 개념과 아이디어를 통해 다층적인 추상 수준에서 사고합니다. 이러한 근본적인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대규모 개념 모델(LCM)입니다. LCM은 정보를 단어 단위가 아닌, 인간처럼 핵심 개념과 아이디어를 조직하고 처리하는 방식을 모방하여 정보 처리의 새로운 시대를 열고 있습니다.

LCM 아키텍처는 세 가지 핵심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력 데이터를 고차원 의미 임베딩으로 변환하는 개념 인코더, 실제 추론이 이루어지는 언어 및 모달리티 불가지론적 환경인 의미 공간, 그리고 추상적 의미 표현을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개념 디코더입니다. 특히, Meta AI에서 개발한 SONAR 임베딩 공간을 활용하여 200개 이상의 언어와 텍스트, 음성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처리하며 순수한 개념적 조작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러한 개념 기반 접근 방식은 여러 이점을 제공합니다. LCM은 장문 콘텐츠 생성에서 일관성을 유지하고, 언어에 구애받지 않는 특성으로 정교한 다국어 번역 및 요약이 가능하며, 텍스트, 음성 등 여러 모달리티를 통합 처리하여 더욱 자연스러운 크로스모달 상호작용을 지원합니다. Base-LCM, Diffusion 기반 LCM (One-Tower 및 Two-Tower), 그리고 양자화된 Quant-LCM 등 다양한 아키텍처가 있으며, 특히 Diffusion 기반 모델은 생성 품질과 문맥적 일관성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입니다.

LCM은 기존 LLM에 비해 반복적인 출력을 줄이고 추상적인 요약 생성에 강점을 보이며, 긴 문맥 처리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합니다. 아직 해결해야 할 기술적, 윤리적 과제들이 존재하지만, 개념 인식 컴퓨팅 시스템의 발전은 인간과 기계 지능 사이의 격차를 줄이고 새로운 형태의 협업을 가능하게 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AI의 미래를 바꿀 개념 기반 사고에 대한 더 깊은 통찰이 궁금하시다면, 지금 바로 팟캐스트를 들어보세요!

참고 문헌 (References):

- **How Large Concept Models are changing Artificial Intelligence #26** by Massimo Canducci (Future Scouting & Innovation)

- **LCM(Large Concept Models), Meta AI가 공개한 개념 기반의 대규모 모델** (파이토치 한국 사용자 모임)

- **Large Concept Model // LCM. Concept is abstract atomic idea // in a new embedding space** by noailabs (Medium)

- **Large Concept Models Explained** by Shaoni Mukherjee (DigitalOcean)

- **Large Concept Models : Language Modeling in a Sentence Representation Space** (Original 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