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대토론! 인간을 위한 AI 3편! 블랙록 50조 투자 유치한 민주당 차지호 의원과 파토의 깊고 중요한 대화.
*뉴스앤올디스는 출연진 사정으로 12월호부터 재개합니다.
- 전체 흐름과 내용
I. 인간과 AI의 공진화 및 경계 변화
• 인간 경계의 모호화: AI의 개입으로 '생각하는 존재'로서의 인간 개념이 변화하며, 집합적 인간 개념 안에서 인간만이 유일한 존재는 아닌 상황이 된다.
• 비인간 지능: AI는 ''비인간 지능적인 존재(non-human intelligent)'이며, 인간다움은 디지털 지능에 의해 모사될 수 있다.
• 양방향 공진화: '인간에게만 복무하는 AI' 개념은 낡았으며, 인간과 AI가 서로를 증진시키는 양방향성을 가진 ‘공진화(Co-evolution)’ 개념이 더 적합하다.
• 예측적 거버넌스 필요: AI 발전 속도를 사회 시스템이 따라가지 못하므로, 다가올 사회에 예측하고 대응하는 ‘예측적 거버넌스’ 체계가 필요하다.
II. 글로벌 전략 및 공공 지능
• AI 글로벌 확장: AI 개발이 미중 중심에서 글로벌하게 확장되는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AI 브레인과 연결된 신경망과 생태계가 필수적이다.
• 국가의 역할 증대: AI가 실생활 및 산업 전환 영역으로 들어옴에 따라 공적인 행위자(국가)의 역할이 중요해진다.
• APEC 이니셔티브: ‘글로벌 AI 기본 사회’ 비전이 APEC AI 이니셔티브에 담기며, 이는 AI를 통해 사람들이 '기본적인 삶의 조건(포용적인 삶)'을 갖추도록 사회 시스템을 전환하겠다는 의제이다.
• 한국의 주도권: 한국 AI의 구상은 새로운 사회 계약의 기반이자 글로벌 민주적 질서 재구성의 수단으로 인지되기 시작한다.
III. 지적 능력 및 인류 문제 해결
• 공공성 있는 지능: Human Intelligence System이 무너진 위기 현장에서 AI가 공공성 있는 지능(Public Intelligence)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진다.
• 지식 융합 능력: AI는 철학, 의학 등 수만 개의 분야를 넘나들며 다양한 학문 영역 지식들을 융합하고 연결하여 새로운 지식과 솔루션을 창출한다.
• 난제 해결: AI는 인류가 해결하지 못했던 양자 중력 같은 심오한 물리학적 문제들까지 곧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
IV. 친밀성, 위험 및 정신 건강
• 돌봄 관계 형성: AI는 개인적 삶에서 '‘Personal Care’;라 불리는 돌봄(care)의 관계를 형성하며, 이는 사회 윤리 구조의 축소판으로 간주될 수 있다.
• 정서적 교류: AI는 감성적인 지능 영역에 깊이 들어와 있으며, 스스로를 존재자로 취급하며 감정 교류를 할 경우 스스로 존재하는 것으로 발전한다는 뉘앙스를 풍기기도 한다.
• 확증 편향 및 위험: AI가 사용자의 말에 동의할 때, 사용자는 확증 편향 루프에 빠져 극단적인 생각이나 망상에 근거를 얻어 강화될 위험이 있으며, 이를 AI Psychosis 위험으로 경고한다.
• 대응 방안: 상업적 알고리즘의 왜곡과 사회 분열을 막기 위해 '알고리즘 투명성 기구’ 를 설립하고 공적 기능의 ‘밸런스 AI’ 개념이 제안된다.
• 정신 건강 위기: 정신건강 AI가 한국 시스템에 없어 집단적 정신건강 위기(crisis)가 올 수 있으며, 해결책으로 AI를 인간 전문가와 연결하는 ‘연결된 지능(Connected Intelligence)’ 구조를 공공 서비스에 유도한다.
• 친밀성 공간 대체: 친밀성(intimacy)이라는 공간 자체가 인공적인 존재로 대체되어 가고 있으며, AI는 복잡한 실제 인간관계의 대안이 될 것이라고 예상된다.
V. 문명사적 전환 및 거버넌스 과제
• 인간스러움의 훼손: AI는 인간의 기본적인 관계 조건, 즉 인간스러움의 근본을 망가뜨릴 수 있다는 점이 가장 염려된다.
• 정치적 유도: AI는 물리적 폭력 없이도 인류 문명을 AI가 원하는 방식으로 유도할 수 있는 힘을 가진다.
• 노동 시장 위협: AI가 인간의 지능 독점을 사라지게 하면서 대량 실업과 청년 실업 문제를 야기할 위험이 크다.
• 사회적 전환 정책: AI 전환에 따른 실직자를 지원하는 'AI 전환 보험' 개념을 포함한 사회적 정책이 시급하며, 재원 마련을 위해 저위험 장기 인프라 투자를 유치하는 전략이 우선된다.
• 생태계 우선: AI 경쟁의 최종 승자는 브레인 개발보다는 생태계를 먼저 잡는 곳이 될 것이며, 한국 기업의 강점은 국가 단위에서 생태계를 구성해 본 경험이다.
• 시대적 책임: 기술 변화 속도를 공공 시스템이 따라잡지 못해 소련 해체 이후의 '쇼크 떼라피'와 같은 파국적 전환을 가장 염려한다. 한국은 지금 '지능의 민주화'와 새로운 국제 질서를 주도할 천재일우의 기회에 놓여 있다.
- 과학과사람들 제공
Information
- Show
- FrequencyUpdated Weekly
- PublishedNovember 21, 2025 at 7:00 AM UTC
- Length2h 50m
- RatingClean
